학술논문
의료사회복지실천의 젠더 편향에 대한 비판적 고찰: Iris Young의 젠더 정의론을 중심으로
이용수 19
- 영문명
- Critical Review on Gender bias of Medical Social Work Practice: Based on Iris Young's Theory of Gender Justice
- 발행기관
- 한국의료사회복지학회
- 저자명
- 이해령
- 간행물 정보
- 『건강과 사회복지』제1권 제1호, 107~13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젠더 평등(gender equality)을 실현하려는 국제사회의 노력이 계속되고 있지만 한국의 글로벌 젠더 격차 지수(Global Gender Gap Index)는 194개국 중 94위를 차지할 정도로 열악하다. 이를 입증하듯 2023년‘제 5차 여성건강통계’에서 한국 여성의 전반적 건강 수준은 남성에 비해 현저히 저하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외 사회복지분야에서 젠더는 점차 중요한 이슈로 다루어지는 추세로 생명과 건강에 직접 관여하는 의료사회복지실천 현장의 관심은 더욱 절실한 상황이다. 이 논문에서는 의료사회복지실천에 배태된 젠더 편향적 수행방식을 Iris Young의 젠더 정의론에 입각하여 개괄적으로 분석하였다. 의료사회복지사가 수행하는 질병중심의 범주적 사고와 개입전략은 젠더 편향에 취약하고 젠더 정의론 관점에서 비판받을 여지가 있으나 Young이 제안하는‘차이의 정치’를 통해 ‘이질적인 공중’을 포괄하는 전략을 통해 일정부분 해소될 수 있다. 페미니스트 사회복지실천, 급진사회복지실천, 비판적 실천, 반차별․반억압 실천 등 일군의 모더니즘적 비판실천은 젠더 편향 해소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다양성(diversity), 형평성(equity), 포괄성(inclusion) 증진 차원에서도 유용하다.
영문 초록
Although the efforts of international society to realize gender equality continue, Korea's Global Gender Gap Index is poor enough to rank 94th out of 194 countries. As evidenced by this, the overall health level of Korean women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men. To the social work practitioner gender is being treated as an important issue globally, especially medical social workers have to consider it more carefully because they are directly involved in life and health issues. In this study, the gender-biased performance embedded in medical social work practice was examined based on Iris Young's gender justice theory. Disease-centered categorical thinking and intervention strategies performed by medical social workers are vulnerable to gender bias and can be criticized by the perspective of gender justice. But it can also be resolved through Iris Young's strategies, which as known as ‘politics of difference' that encompass the ‘heterogeneous public'. A group of modernist critical practice models, such as feminist social work, radical social work, critical social work, anti-discriminatory practice, and anti-oppressive social work can help resolve the gender bias of medical social work and are also useful in promoting diversity, equity, and inclusion.
목차
Ⅰ. 서론
Ⅱ. 의료사회복지실천의 젠더 편향
Ⅲ. 젠더 정의론을 통한 비판적 고찰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우리나라 저출산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청소년의 학교생활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학교부적응 청소년들을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