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역사회 노인의 내재적 역량과 지역사회 계속거주 의향
이용수 82
- 영문명
- Intrinsic Capacity and Willingness Toward Aging in Place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 저자명
- 이보경 김세희 부선주
- 간행물 정보
- 『Nursing & Health Issues』제29권 제2호, 242~252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간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levels of intrinsic capacity and willingness toward Ageing in Place (AIP). Methods: This secondary data analysis included data from 9,737 (weighted-n=7,477,866) older adults who participated in the 2020 Korean Elderly Survey. Intrinsic capacity encompasses several aspects, including locomotor capacity, depressive symptoms, cognitive capacity, vitality, and sensory capacity. Willingness toward AIP was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the positive attitude group, who wish to stay in the community even if their health declines; the neutral attitude group, who are open to moving to a facility if their health worsens; and the facility living preference group, who prefer to relocate to a facility. Results: The proportions of the positive AIP, neutral AIP, and facility preference groups were 68.7%, 27.4%, and 3.9%, respectively. Among the five intrinsic capacity components, sensory impairment was the most prevalent, followed by depressive symptoms, cognitive impairment, mobility loss, and undernutrition. Depressive symptoms and mobility loss were the most prevalent in the facility living preference group. Conclusion: These finding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enhancing intrinsic capacity to increase the willingness toward AIP of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through early comprehensive screening of intrinsic capacity in older adults.
영문 초록
목차
서 론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 의
결 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간호대학생의 일상적 창의성, 셀프리더십, 회복탄력성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 지역사회 다빈도 질환 간호 시뮬레이션 실습교육프로그램 개발
-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주관적 웰빙 개념분석
- 간호 시뮬레이션에서 CPR 지식평가를 위한 도구개발 및 검증
- 수술실 간호사의 경력단계별 환자안전관리 교육요구도 분석
- 초기 청소년의 임파워먼트와 건강행동 및 비만도 간의 관련성
- 임상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 윤리적 민감성이 연명의료 중단 태도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정신건강정보이해능력과 사회적지지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노인장기요양보험 재가 방문간호 대상자의 등급별 특성 비교: 2차 자료 분석
- 일 도시지역 청소년의 마약사용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종합병원 간호사의 투약오류와 투약안전역량이 투약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지각된 건강상태와 그릿, 일과 삶의 균형, 긍정 간호조직문화가 직장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연민, 건강정보이해능력 역량, 간호사-의사 협력이 환자중심 간호에 미치는 영향
- 지역사회 노인의 내재적 역량과 지역사회 계속거주 의향
- 생의 말기 재가 환자의 통합지원에 대한 비용편익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간호학분야 BEST
- 인공지능을 적용한 국내 간호교육 연구 동향 분석
- 청소년의 취침 전 스마트폰 사용 시간과 수면의 질과의 관련성
- 간호대학생의 인공지능에 대한 지식, 인식 및 수용태도가 인공지능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의약학 > 간호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과 간호사 대상 시뮬레이션 기반 환자안전교육에 대한 주제범위 문헌고찰
- 초기 당뇨병 환자의 안저검사 수검 관련 요인
- 전문대학 간호학과 임상실습교육의 현황과 임상간호교수제에 대한 인식 조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