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기 청소년의 임파워먼트와 건강행동 및 비만도 간의 관련성
이용수 65
- 영문명
- Empowerment, Health Behaviors, and Obesity among Early Adolescents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 저자명
- 임유나 김혜진
- 간행물 정보
- 『Nursing & Health Issues』제29권 제2호, 230~241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간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empowerment, health behaviors (eating behaviors, physical activities), and obesity among early adolescents. Methods: A cross-sectional correlational study was conducted with 115 early adolescents in elementary school grades 5 and 6 in Gangwon-do. Empowerment was measured using the Empowerment Scale. Health behaviors were measured using two types of eating behaviors and physical activity, which were assessed via self-reported questionnaires. Eating behaviors were assessed in terms of breakfast, fruits, sugar-sweetened beverage, and fast-food intake. Physical activity was assessed based on sufficient physical activities and sedentary time. Obesity was assessed using an electronic weight/height scale. The data were evaluated using a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average empowerment scores were 2.8, 2.7, 3.1, and 2.5 for total, intrapersonal, interpersonal, and socio-political empowerment, respectively. The total and intrapersonal empowerment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breakfast intake (7 days per week) (AOR=3.69, p =.022; AOR= 2.59, p =.045) and sufficient physical activity (≥1 hr per day) (AOR=6.81, p =.037; AOR=16.69, p =.002). Interpersonal empowerment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breakfast intake (7 days per week) (AOR=3.27, p =.022). No significant associations were observed between empowerment and obesity. Conclusion: The results confirm an association between early adolescents’ empowerment, health behaviors, and obesity. Empowerment is a key factor in positive health behaviors of early adolescents.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a health promotion program to improve health life practices among early adolescents.
영문 초록
목차
서 론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 의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간호대학생의 일상적 창의성, 셀프리더십, 회복탄력성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 지역사회 다빈도 질환 간호 시뮬레이션 실습교육프로그램 개발
-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주관적 웰빙 개념분석
- 간호 시뮬레이션에서 CPR 지식평가를 위한 도구개발 및 검증
- 수술실 간호사의 경력단계별 환자안전관리 교육요구도 분석
- 초기 청소년의 임파워먼트와 건강행동 및 비만도 간의 관련성
- 임상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 윤리적 민감성이 연명의료 중단 태도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정신건강정보이해능력과 사회적지지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노인장기요양보험 재가 방문간호 대상자의 등급별 특성 비교: 2차 자료 분석
- 일 도시지역 청소년의 마약사용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종합병원 간호사의 투약오류와 투약안전역량이 투약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지각된 건강상태와 그릿, 일과 삶의 균형, 긍정 간호조직문화가 직장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연민, 건강정보이해능력 역량, 간호사-의사 협력이 환자중심 간호에 미치는 영향
- 지역사회 노인의 내재적 역량과 지역사회 계속거주 의향
- 생의 말기 재가 환자의 통합지원에 대한 비용편익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간호학분야 BEST
- 인공지능을 적용한 국내 간호교육 연구 동향 분석
- 청소년의 취침 전 스마트폰 사용 시간과 수면의 질과의 관련성
- 간호대학생의 인공지능에 대한 지식, 인식 및 수용태도가 인공지능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의약학 > 간호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과 간호사 대상 시뮬레이션 기반 환자안전교육에 대한 주제범위 문헌고찰
- 초기 당뇨병 환자의 안저검사 수검 관련 요인
- 전문대학 간호학과 임상실습교육의 현황과 임상간호교수제에 대한 인식 조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