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눈썹 반영구화장 기법 중 헤어스트록 기법의 인식도

이용수 7

영문명
Awareness of the hair stroke technique among eyebrow semi-permanent makeup techniques
발행기관
케이뷰티인학회
저자명
김여진
간행물 정보
『케이뷰티인학회지』제4권 제1호, 4~14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의상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4.30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현대의 반영구화장 시장이 추세에 맞춰서 발전함에 따라 최근 한국 반영구화장 산업에 유행을 알리는 새로운 눈썹 기법인 헤어스트록 기법의 눈썹 반영구화장이 주목받고 있다. 반영구화장 눈썹 기법 중 엠보, 수지, 콤보 등에 관한 기법에 대한 연구는 있지만 헤어스트록 기법에 대한 선행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눈썹 반영구화장 기법과 헤어스트록 기법의 인식도를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눈썹 반영구 기법 중 차별화된 헤어스트록 기법의 인식도에 관한 설문조사를 소비자와 시술자를 대상으로 2024년 2월 25일부터 3월 20일까지 설문을 실시하여 통계해석 상용프로그램인 SPSS를 활용한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총 315명의 설문조사를 분석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의 기존눈썹 반영구 기법보다 더 헤어스트록 기법의 수요는 적게 나타났다. 둘째, 시술자는 소비자에 비해 헤어스트록 기법에 대해 알고는 있으나 시술받은 사람을 본 적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아 한국에서는 헤어스트록 기법 시술을 하는 기술자가 많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시술자와 소비자가 헤어스트록 기법의 인식 차이는 소비자보다 시술자가 더 많이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헤어스트록 기법 시술 무경험자가 88.4% 높게 나타났고, 유경험자가 11.4%로 현저하게 낮게 나온 것으로 보아 소비자가 헤어스트록 기법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고, 시술할 기술자가 아직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헤어스트록 기법의 인식과 수요가 적으므로 이에 소비자 구축 활성화를 위해 한국형 헤어스트록 기법 전문가를 체계적으로 양성하여, 향후 소비자가 헤어스트록 기법의 시술 수요를 증가시키고, 기존 반영구 화장의 중요한 시술 기법이 될 수 있도록 많은 후속 연구가 실시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As the modern semi-permanent makeup market develops in line with the trend, a new eyebrow technique, the hair stroke technique, which is a new eyebrow technique that informs the trend in the Korean semi-permanent makeup industry, is attracting attention recently. Among the semi-permanent makeup eyebrow techniques, there are studies on techniques related to embossing, resin, and combo, but there are no prior studies on the hair stroke techniqu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of the existing semi-permanent makeup technique and the hair stroke technique. In this study, a survey on the awareness of the differentiated hair stroking technique among the existing eyebrow semi-permanent techniques was conducted for consumers and operators from February 25 to March 20, 2024, and technical statistics were conducted using SPSS, a commercial program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nalyzing the survey of a total of 315 people are as follows. First, the demand for the hair stroking technique was lower than that of the existing eyebrow semi-permanent technique of consumers. Second, as most of the cases showed that the practitioners knew about the hair stroking technique compared to the consumers, but had never seen anyone who had undergone the procedure,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not many technicians performing the hair stroking technique in Korea. Third, it was found that the operator and the consumer knew more about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the hair stroking technique than the consumer. Fourth, it was found that 88.4% of those who had not experienced the hair stroking technique were high, and 11.4% of those who had experienced it were significantly low, indicating that consumers lacked awareness of the hair stroking technique and there were still insufficient technicians to perform the procedure. The conclusion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Since the recognition and demand of the hair stroke technique are low, many follow-up studies need to be conducted to systematically train Korean hair stroke technique experts to revitalize consumer construction so that consumers can increase the demand for hair stroke techniques in the future and become an important treatment technique for existing semi-permanent makeup.

목차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고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여진. (2024).눈썹 반영구화장 기법 중 헤어스트록 기법의 인식도. 케이뷰티인학회지, 4 (1), 4-14

MLA

김여진. "눈썹 반영구화장 기법 중 헤어스트록 기법의 인식도." 케이뷰티인학회지, 4.1(2024): 4-1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