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비교대 중년여성 근로자의 웰빙 영향요인: 2차자료분석
이용수 167
- 영문명
- Factors Influencing the Well-being of the Middle-aged Non-shift Female Workers: Using Secondary Data
- 발행기관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 저자명
- 이연화 양영란
- 간행물 정보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제33권 제1호, 1~11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간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2.29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well-being of middle-aged non-shift female workers using health-determinant models. Methods: This study analyzed data from the fifth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KWCS), involving 5,449 participants.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ous factors and well-being. Results: The analysis identified key factors affecting well-being in middle-aged female non-shift workers, including supervisor support, presenteeism, satisfaction with the working environment, autonomy in working hours, support from coworkers, workplace discrimination, occupation, work-life balance, sleep problems, workplace size, weekly work hours, and sickness absence.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well-being of middle-aged non-shift female workers is influenced by factors at the individual, social, and community levels as well as by conditions related to love. Conclusion: To enhance the well-being of middle-aged female non-shift workers, it is essential to reinforce positive factors such as support from coworkers and superiors. Additionally, addressing and mitigating negatively influencing factors such as workplace discrimination and sleep problems is crucial in promoting well-being. By implementing measures to improve these aspects, organizations and policymakers can contribute to a healthier and more supportive work environment for middle-aged, non-shift female workers.
영문 초록
목차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간호학분야 BEST
- 인공지능을 적용한 국내 간호교육 연구 동향 분석
- 청소년의 취침 전 스마트폰 사용 시간과 수면의 질과의 관련성
- 간호대학생의 인공지능에 대한 지식, 인식 및 수용태도가 인공지능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의약학 > 간호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과 간호사 대상 시뮬레이션 기반 환자안전교육에 대한 주제범위 문헌고찰
- 초기 당뇨병 환자의 안저검사 수검 관련 요인
- 전문대학 간호학과 임상실습교육의 현황과 임상간호교수제에 대한 인식 조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