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소아골수천자 시술에 적합한 진정요법제 선정을 위한 근거기반간호 사례
이용수 134
- 영문명
- Evidence-based Nursing Case for Selection of Appropriate Sedative Therapy in Pediatric Bone Marrow Biopsy
- 발행기관
- 한국근거기반간호학회
- 저자명
- 강애진 최은석 두윤숙 김영선 서유리 김정혜 임은영
- 간행물 정보
- 『근거와 간호』제11권 제1호, 7~12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간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Purpose: This case study aimed to provide a optimal sedation guidelines for pediatric patients receiving Bone Marrow Biopsy and Aspiration. Methods: The PICO format was used to develop a clinical practice question. A systematic search was carried out in PubMed, EMBASE, CINAHL, Cochrane, RISS and practice guidelines of professional association. In total, 157 articles were screened, and eight articles were selected in this study. Four reviewers independently extracted data and assessed quality. Study findings were summarized and evaluated the quality of evidence using SIGN and GRADE. Results: The SIGN grade for Ketamine-Midazolam seda-tion was "A", which was applied to clinical practice from August 2020, and a comparative study was conducted. Ketamine-Midazol-am-Pethidine (KMP) sedations used from March to July 2020 and Ketamine-Midazolam (KM) sedations used from August to Decem-ber 2020. Both groups achieved successful sedation in all cases, therefore the need for additional sedative medication (KM=1.04 ver-sus KMP=1.01, p=.978) was similar. Pain frequency (KM=5.9% versus KMP=9.0%, p=.531) and lowest saturation level (KM=97.97 versus KMP=97.6, p=.173) were equivalent between the two group. Conclusion: Ketamine-Midazolam sedation can provide an ap-propriate level of sedation and reduce adverse events in children undergoing bone marrow aspiration and biopsy.
영문 초록
목차
배경 및 목적
임상질문
근거검색
임상실무 적용
임상실무 확대 적용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간호학분야 BEST
- 청소년의 취침 전 스마트폰 사용 시간과 수면의 질과의 관련성
- 인공지능을 적용한 국내 간호교육 연구 동향 분석
- 중환자실 간호사의 개인보호구에 대한 지식, 태도, 안전환경 인식과 착용 수행도
의약학 > 간호학분야 NEW
- 보건진료전담공무원의 업무변화 경험
- Omega-3 Fatty Acid Intake and Blood Lipids in Rural Older Adults: Analysis of the 202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농촌 지역 노인의 근감소증 예방을 위한 운동·영양 복합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