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의 패션 유능감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대인관계능력과 외모 불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80

영문명
The Effects of Fashion Competence on Social Anxiety in College Student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Interpersonal Skills and Appearance Anxiety
발행기관
한국가정과교육학회
저자명
이애우 이윤정
간행물 정보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제35권 제4호, 99~115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의 패션 유능감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대인관계능력과 외모 불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235명의 대학생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26.0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패션 유능감의 하위 요인으로는 패션 관여도, 패션 혁신성, 패션 코디 자신감이 나타났으며, 회귀분석을 통하여 매개모형을 분석한 결과, 패션 관여도는 대인관계능력을 통해 사회불안을 간접적으로 낮추는 반면, 외모 불안의 매개효과는 없었다. 패션 혁신성은 외모 불안을 통해 사회불안에 간접 영향을 미치지만 대인관계능력의 매개효과는 없었다. 패션 코디 자신감은 대인관계능력과 외모 불안 모두를 통해 사회불안에 간접적 영향 미쳤으며, 직접 효과도 유의하였다. 이 연구는 패션 유능감이 사회불안에 대해 양면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대학생들의 사회불안 해결을 위해패션 테라피 프로그램을 통해 패션 코디 자신감을 증진시키는 것이 유용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프로그램에서 패션 혁신성의 과도한 추구는 외모 불안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지양하여야 하며, 자신의 외모에 대한 자신감 증진에 초점을 맞춰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college students' fashion competence on social anxiety,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interpersonal skills and appearance anxiety.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235 college students via online communities,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6.0. The factor analysis revealed sub-factors of fashion competence, including fashion involvement, fashion innovativeness, and confidence in fashion coordination. The regression analysis of the mediation model showed that while fashion involvement indirectly reduces social anxiety through interpersonal skills,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of appearance anxiety. Fashion innovativeness had an indirect impact on social anxiety through appearance anxiety, but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through interpersonal skills. Confidence in fashion coordination influenced social anxiety indirectly through both interpersonal skills and appearance anxiety, and it also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This research confirmed that fashion competence can have a dual impact on social anxiety, and suggested that enhancing confidence in fashion coordination through fashion therapy programs might be beneficial for resolving college students' social anxiety. However, such programs should avoid excessively pursuing fashion innovativeness, as it can increase appearance anxiety, and should focus on enhancing confidence in one's appearanc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요약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애우,이윤정. (2023).대학생의 패션 유능감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대인관계능력과 외모 불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35 (4), 99-115

MLA

이애우,이윤정. "대학생의 패션 유능감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대인관계능력과 외모 불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35.4(2023): 99-11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