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에스더 8~9장 다시 읽기 - 대학살을 정당방위로 묘사하는 텍스트 전략 분석 -
이용수 49
- 영문명
- Re-reading Esther 8~9 - Analysis on Textual Strategy Describing Massacre as Just Self-Defense -
- 발행기관
- 삼육대학교 신학연구소
- 저자명
- 김성이
- 간행물 정보
- 『신학과 학문(구 신학리뷰)』제25권 제2호, 165~18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에스더 8~9장에 기록된 유대인들의 대학살을 정당화하기 위해 본문이 어떤 문학적 장치를 작동하고 있는지를 분석한 연구이다. 분석 결과 그 본문에는 그 목적을 위한 세 가지의 문학적 장치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첫째는 ‘재산은 탈취하지 않았다’는 기록의 반복이다. 둘째는 ‘처자’에 대한 언급 생략이다. 셋째는 ‘자기 생명을 위한 것’이라는 명시적인 해설이다. 본문은 이런 장치를 통해 이 살육이 정당하였다고 독자들을 설득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literary device used in Esther chapters 8-9, which the author intends to justify the massacre of the Jews. In a nutshell, there are three literary devices for that purpose in the text. The first is the repetition of the record that ‘but they laid not their hands on the prey.’ The second is the omission of mention of ‘little ones and women’ in their slaughter. The third is an explicit explanation of ‘protect themselves.’ The text persuades the readers through these literary devices that this slaughter was justified.
목차
Ⅰ. 서론
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
Ⅲ. 역사적 배경과 사건의 맥락
Ⅳ. 대학살을 정당방위로 설득하는 텍스트의 전략
Ⅴ.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서평] 국제적인 전인교육의 지침을 찾아서
- [서평] 교권과 인권은 한 곳을 볼 수 있을까
- [권두언] 시대적 역할을 묻다!
- E. G. White의 인간 이해에 기초한 삼육(三育)과 삼육교육의 의미에 대한 연구
- 연희전문의 역사와 학풍을 통해 본 기독교대학의 정체성
- 종교 기반 전문대학의 종교 교육 - 어려움과 가능성에 대한 논의 -
- 에스더 8~9장 다시 읽기 - 대학살을 정당방위로 묘사하는 텍스트 전략 분석 -
- ‘삼육교육’ 구성 요소 표기에 관한 고찰 - 엘렌 G. 화잇의 ‘참교육 이상’에 근거하여 -
- 개인의 종교성 잠재 프로파일 유형화와 절망사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