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의 이러닝 준비도, 실재감, 학습성과의 구조적 관계

이용수 30

영문명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e-Learning Readiness, Presence and Learning Performance in University e-Learning
발행기관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저자명
문진희
간행물 정보
『교육연구』제45권 제3호, 33~58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1.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 이러닝에서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이러닝 준비도와 실재감을 선정하고 이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였다. 이를 위하여 4년제 대학생 420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에서 외생변인으로서 이러닝 준비도, 내생변인으로서 실재감(교수실재감, 인지실재감), 학습성과(인지된 성취도, 만족도, 학습지속의향)을 선정하여 변인 간 구조적 관계를 밝혔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구안한 구조모형은 적합도와 타당도 기준을 충족하였다. 둘째, 이러닝 준비도는 인지된 성취도를 제외하고, 학습만족도와 학습지속의향, 교수실재감, 인지실재감에 직접효과가 있었다. 교수실재감은 인지된 성취도, 학습만족도, 학습지속의향, 인지실재감에 직접효과가 있었다. 또한 인지실재감은 인지된 성취도, 학습만족도, 학습지속의향에 직접효과가 있었다. 셋째, 이러닝 준비도와 인지된 성취도, 학습만족도, 학습지속의향 사이에서 교수실재감과 인지실재감은 각각 매개효과가 있었다. 넷째, 이러닝 준비와 인지된 성취도, 학습만족도, 학습지속의향 사이에서 교수실재감과 인지실재감의 이중 매개효과가 있었다. 이와 같이 이러닝 준비도가 학습성과 및 실재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으므로 이러닝에서 학습자의 이러닝 준비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실질적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인지실재감이 학습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으므로 교수자는 인지실재감의 하위요소인 학습자의 학습내용의 이해 정도, 지식의 창출 정도, 학습관리 정도가 학습과정에서 최대한으로 발휘할 수 있도록 수업을 계획하고 운영해야 한다.

영문 초록

For this study, a survey targeting 420 students from a 4-year university in Cheonbuk Province. The specific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model devised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e-Learning readiness, presence(teaching presence, cognitive presence) and learning performance(perceived achievement, learning satisfaction, intention to persist in learning) perceived by the university students was fit. This means there are significant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e-Learning readiness, presence(teaching presence, cognitive presence) and learning performance(perceived achievement, learning satisfaction, intention to persist in learning). Second, when analyzing the direct effects of the variables, the significant direct effects were found between 1) e-Learning readiness and learning satisfaction, 2) e-Learning readiness and intention to persist in learning, 3) e-Learning readiness and presence(teaching presence, cognitive presence), 4) teaching presence and learning performance(perceived achievement, learning satisfaction, intention to persist in learning), 5) teaching presence and cognitive presence, and 6) cognitive presence and learning performance(perceived achievement, learning satisfaction, intention to persist in learning), except for the direct effects on e-Learning readiness and perceived achievement. Third, when analyzing the indirect effects of the variables, there were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of teaching pres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1) e-Learning readiness and learning performance(perceived achievement, learning satisfaction, intention to persist in learning), and of cognitive pres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2) e-Learning readiness and learning performance(perceived achievement, learning satisfaction, intention to persist in learning). Also, the double-mediating effects of teaching presence and cognitive presence were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Learning readiness and learning performance(perceived achievement, learning satisfaction, intention to persist in learning). This study verified the causal relationships of individual variables, which are relevant to high learning performance in university e-Learning and suggested a methodology to enhance the level of learning performance. In conclusion, the study suggests the need for an instructional design to reinforce e-Learning readiness for enhancing learning performance and for a consideration of teaching presence and cognitive presence factors for an instructional design.

목차

Ⅰ. 서 론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문진희. (2023).대학생의 이러닝 준비도, 실재감, 학습성과의 구조적 관계. 교육연구, 45 (3), 33-58

MLA

문진희. "대학생의 이러닝 준비도, 실재감, 학습성과의 구조적 관계." 교육연구, 45.3(2023): 33-5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