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본 예술적 역량 : 담론, 실증사례 그리고 재구성

이용수 43

영문명
Artistic competency from a sociocultural perspective : Discourse, empirical cases, and reconstruction
발행기관
한국문화교육학회
저자명
이준용 김정숙
간행물 정보
『문화예술교육연구』제18권 제4호, 137~154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8.31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예술과 비예술의 경계가 점차 불분명해질 수밖에 없는 시대적 정황에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 예술/비예술, 예술 행위자/예술적 역량의 이분법적 경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적 담론을 무용 영역을 중심으로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회문화적 관점―특히 라투르의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을 담론 분석의 주요 틀로 활용했다. 또한, 무용 전공 및 경력 현장에서의 실증사례를 예술적 경험이 예술적 역량을 계발시키는 성과를 실제로 내고 있는지 다변량 분산분석, 일원변량분석, 판별분석의 통계 기법으로 분석했다. 분석한 결과 경력의 주 효과는 다차원적 유의성이 나타났으나, 전공의 주 효과와 경력×전공의 상호작용 효과에서는 유효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기술 통계적으로는 오랜 무용 경력이 예술적 역량과 관련성이 높다는 사실이 도출되었고, 심리 의미론적으로는 무용 경력의 내재화된 체화 경험이 예술적 역량과 높은 관련성을 가진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그러한 결과를 다시 라투르의 관점에서 재구성함으로써, 경력의 의의를 재정의하고 전공의 무의미성이 암시하는 생산적 측면을 도출했으며, 예술적 역량 척도의 발전 방향을 번역 및 기술 사용자 역량을 포함한 확장 형태로 제안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alternative discourse to overcome the existing dichotomous boundaries between art/non-art and artistic actor/artistic capabilities, focusing on the field of dance, in accordance with the circumstances of the times, the boundary between art and non-art inevitably becomes increasingly unclear. To this end, the sociocultural perspective, especially Latour's actor-network theory, was used as the main framework for discourse analysis. In addition, empirical cases from dance majors and career fields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discriminant analysis to determine whether artistic experiences are actually producing results in developing artistic capabilit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ain effect of experience showed multidimensional significance, but the main effect of major and the interaction effect of experience × major did not show valid results. Technically and statistically, it was found that a long dance experience was highly related to artistic competency, and psychosemantically, it was found that the internalized embodied experience of dance experience was highly related to artistic competency. By reconstructing such results from Latour's perspective again, the significance of career was redefined, the productive aspects implied by the meaninglessness of major were derived, and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the artistic competency scale was proposed as an expansion to include translation and technology user competency.

목차

Ⅰ. 서론
Ⅱ. 담론
Ⅲ. 실증사례 : 통계적 분석
Ⅳ. 논의 및 재구성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준용,김정숙. (2023).사회문화적 관점에서 본 예술적 역량 : 담론, 실증사례 그리고 재구성. 문화예술교육연구, 18 (4), 137-154

MLA

이준용,김정숙.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본 예술적 역량 : 담론, 실증사례 그리고 재구성." 문화예술교육연구, 18.4(2023): 137-15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