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과제 기반의 거울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 운동 기능과 일상생활 상지사용 회복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9

영문명
The Effects of Task-Based Mirror Therapy on Upper Extremity Motor Function and Use in Daily Living in Adults With Stroke
발행기관
대한작업치료학회
저자명
김영조 박지혁 정민예 유은영
간행물 정보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25권 제3호, 41~57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의약학 > 의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9.30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과제 기반의 거울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 운동 기능과 일상생활 상지사용 회복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본 연구에서 사용된 연구 설계는 사전-사후 대조군 설계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뇌졸중 편마비 진 단을 받은 실험군 8명, 대조군 10명으로 이루어져 있다. 모든 대상자는 중재 기간 동안 동일한 수준의 일반 적 재활치료를 받았고 실험군은 과제 기반의 거울치료를 추가로 적용받았다. 과제 기반의 거울치료는 4주 간, 주 5회, 1회 30분씩 총 20회기로 구성되었다. 결과 분석은 기술 통계와 피셔 정확검정(Fisher's exact test),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Wilcoxon signed-rank test), 만-휘트니 U검정(Mann-Whitney U test) 시행하였다. 결과:사전 평가에서의 집단 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중재 후, 과제 기반의 거울치료를 적용한 실험군에 서는 Fugl-Meyer Motor Assessment(FMA), Action Research Arm Test(ARAT), Motor Activity Log(MAL), 팔꿈치 관절 움직임의 순발력, 부드러움에서 매우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일반적 재활치료 만 받은 대조군에서는 실험군과 마찬가지로 ARAT와 MAL의 점수 증가를 보였으나, FMA 점수와 팔꿈치 관절 움직임에서의 질적 향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집단 간 비교에서는 FMA, ARAT, MAL, 팔꿈치 관절 움직임의 순발력, 부드러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과제 기반의 거울치료를 이용한 중재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 운동 기능과 일상생활상지사용 회복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ask-based mirror therapy to improve upper extremity motor function and use in daily living for patients with stroke. Methods: The subjects were 18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hemiplegic stroke.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experimental( n =8) and control groups( n =10). All patients received general rehabilitation intervention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and task-based mirror therapy was provided only to experimental groups. Task-based mirror therapy was composed of 20 sessions, 30 minutes per session, 5 times a week, for 4 weeks. For result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Fisher's exact test, Wilcoxon signed rank test, and Mann-Whitney U test were used. Results: After intervention, the score of Fugl-Meyer Assessment(FMA), Action Research Arm Test(ARAT), Motor Activity Log(MAL), and the dexterity and coordination of elbow joint movement for pati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improved. Although the control group who received general rehabilitation treatment promoted ARAT and MAL scores, their scores were significantly less than those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FMA score and quality of movement were not statistically promoted. In between-group comparison, FMA, ARAT, MAL, and the dexterity and coordination of elbow join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reasonable to conclude that task-based mirror therapy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 to improve upper extremity motor function and to facilitate upper extremity use in daily living.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영조,박지혁,정민예,유은영. (2017).과제 기반의 거울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 운동 기능과 일상생활 상지사용 회복에 미치는 효과.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5 (3), 41-57

MLA

김영조,박지혁,정민예,유은영. "과제 기반의 거울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 운동 기능과 일상생활 상지사용 회복에 미치는 효과."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5.3(2017): 41-5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