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직업에 복귀한 요통산재근로자에 대한 작업강화 프로그램 효과

이용수 2

영문명
The Effects of a Work-Hardening Program for Workers Returning to Work With Low Back Pain
발행기관
대한작업치료학회
저자명
박소연 김현욱
간행물 정보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16권 제4호, 65~76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의약학 > 의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12.31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 연구의 목적은 산재요양 후 복귀한 요통산재근로자의 업무적응을 위해 개발한 작업강화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이를 위해 창원의 소형자동차 생산업체에서 6개월 이상 산재요양을 한 후 복귀한 요통산재근로자를 대상으로 2005년 8월 1일부터 11월 30일 사이에 연구를 실시하였다. 작업강화 프로그램에 참여할 실험군(18명)과 대조군(20명)은 노사협의를 통해 선정하였다. 실험군은 두려움-회피 신념 모델을 기초로 개발된 개별화된 작업강화 프로그램에 하루 2시간씩, 주 5회, 약 8주간 참여하였다. 대조군은 기존의 방식대로 2주간을 적응기간을 거쳐 이미 복귀한 상태에 있었다.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군의 프로그램 참여 전․후의 두려움-회피 신념, 요통 장애, 시각적 통증 수준, Becks 우울 척도의 점수, 그리고 안전한 최대 중량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그리고 이들 평가항목들에 대해 대조군의 평가결과와 비교하였다. 결과 : 실험군은 프로그램 참여 전에 비해 참여 후에 업무와 관련된 두려움-회피 신념(FABQ1-work), 요통 장애 수준, 시각적 통증 수준, Becks 우울 척도의 점수 및 안전한 최대 중량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5). 그리고 실험군은 평균 35.8(±6.4)일, 약 6~8주간 작업강화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는데, 이를 통하여 이미 정상적으로 업무를 수행 중인 대조군과 대등한 수준까지 기능적으로 향상되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실시한 개별화된 작업강화 프로그램은 복귀한 요통산재근로자의 업무적응 기간을 단축시키는 데 효과적이었다. 그러므로 요통산재근로자의 조기 직업복귀 지원을 위해 작업강화 프로그램 도입이 정책적으로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 work-hardening program on workers who returned to their jobs after medical treatment for work-related low back pain.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 domestic car manufacturing company from August through November, 2005, and all participants returned to their jobs after over 6 months of medical treatment for work-related low back pain. Experimental (N=18) and control groups (N=20) were selected for the study.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 individualized education and exercise program built on a fear-avoidance beliefs model was provided for 2 hours a day, 5 days a week for approximately eight weeks. For the control group, workers who returned to their normal jobs through a long adaptation period after returning to work were se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by the scores of fear-avoidance beliefs, disability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pain intensity, depression, and the safe maximum weights in pre- and post-tests. Results :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s in the scores of fear-avoidance work beliefs (FABQ1-work), disability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due to low back pain (RDQ), pain intensity (VAS), and depression (K-BDI), and the safe maximum weights assessed at three different heights were found after interven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p<.05). The mean working period after returning to work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6.1 (±3.2) months, while that of the control group was 22.4 (±14.9) months, which were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different (p<.05). The results showed that, in adapting to their job, the functional status of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up to the level of the control group in about 8 weeks. Conclusion : This study confirmed that an individualized work-hardening program in the workplace is an effective means for improving workers' functional capacity and for decreasing the duration of a period of adaptation to work. We expect that in the future, the study of work-hardening programs to support an early return of workers with low back pain will be vitalized.

목차

I. 서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IV. 고찰
V.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소연,김현욱. (2008).직업에 복귀한 요통산재근로자에 대한 작업강화 프로그램 효과.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6 (4), 65-76

MLA

박소연,김현욱. "직업에 복귀한 요통산재근로자에 대한 작업강화 프로그램 효과."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6.4(2008): 65-7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