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현실적 딜레마

이용수 20

영문명
Teachers’ perception and dilemmas about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다문화교육학회
저자명
이성회
간행물 정보
『다문화교육연구』제9권 제2호, 31~55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6.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최근 국내에서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이념적·정책적 담론의 급부상과 달리, 학교현장에 기반을 둔 경험적 연구가 상대적으로 미미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특히 연구자는 정책적 투입이 있기 이전부터 세계시민교육을 자발적으로 수행해오던 교사들의 세계시민교육의 개념에 대한 이해와 현실적 딜레마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위해 사례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총 34명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면담 및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이들 교사들을 공통적으로 입시위주의 경쟁구도로 대변되는 전통적 패러다임을 대체할 수 있는 대안적 패러다임으로 세계시민교육을 인식하고 있었으나 여전히 그 개념을 명료히 정의내리는 데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분석 결과 대안적 교육패러다임이라고 인식되는 세계시민교육의 관점을 가진 교사들은 전통적 교육패러다임이 주류를 이루는 학교현장이란 모순적 현실 속에서 필 연적으로 다양한 딜레마에 직면할 수밖에 없었다. 이는 시간 찾기의 딜레마, 색다른 교육의 시도와 경직된 교사문화 사이에서의 딜레마, 평가의 딜레마로 구현되어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자는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세계시민교육 개념의 모호성과 현실적 딜레마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적 제안과 함께 세계시민교육 담론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Recently,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hereafter, GCED) becomes a burgeoning issue in the ideational and political discourses in South Korean education. Unfortunately, however, there are few empirical studies on GCED in school education. Accordingly, based on a case study approach, this study explored 34 primary and secondary teachers’ perceptions and dilemmas about GCED in their daily school lives.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understood GCED as an alternative educational paradigm against the traditional one, which is based on the logic of competitiveness geared toward entering university. However, they still view the concept ambiguously. The teachers also confronted three practical dilemmas: the dilemma of finding times, the one between their unconventional educational attempt and the rigid teachers’ culture, and the one of evaluation. These dilemmas were inevitable because those teachers practice GCED, namely, an alternative educational paradigm, within the school education system in which the traditional educational paradigm is still prevalent. Based on the analysis, this study proposed the policy suggestions and the desirable direction of GCED in Korean school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이론적 논의
Ⅲ. 연구방법
Ⅳ.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현실적 딜레마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성회. (2016).세계시민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현실적 딜레마. 다문화교육연구, 9 (2), 31-55

MLA

이성회.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현실적 딜레마." 다문화교육연구, 9.2(2016): 31-5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