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등학생들의 진로개발역량 영향요인 탐색

이용수 63

영문명
The Prediction Factors of th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of High School Students
발행기관
한국직업교육학회
저자명
백승희
간행물 정보
『직업교육연구』제42권 제4호, 55~71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8.31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개발역량에서 이질적인 유형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각 잠재계층 구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교육부・한국직업능력연구원의 ‘2022년 초・중등 진로교육 현황조사’를 사용하였으며, 고등학생 7,1245명(남학생 3,853명(54.1%), 여학생 3,271명(45.9%))을 대상으로 하였다.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사용하여 잠재계층을 구분하였고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영향요인을 탐색하였다. 진로개발역량에서의 잠재계층을 확인한 결과 3개의 이질적인 집단으로 분류되었으며, 3개의 잠재계층을 구분하는 예측요인을 알아본 결과 개인수준 요인에서는 성별, 진로활동 참여 만족도, 진로체험 참여도움도, 창업가정신 함양 및 창업체험 교육참여 만족도, 진로정보 필요성, 부모와의 대화, 진로정보 인지도, 희망진로 준비도, 학습동기 그리고 자기주도학습이, 학교수준 요인에서는 진로전담교사가 인식한 창업가정신 함양 및 창업체험 교육의 적절성이 잠재계층 구분을 예측하는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stimate the latent classes of high school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and individual and school factors determining these latent profiles. To this end, we used data from the “2022 Career Education Status Survey” of 7,124 students, including (3,8534 male and 3,271 female students). Based on the latent profile modeling analysis, we identified three distinct latent classes of students'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These classes were named ‘low-level group,’ ‘intermediate-level group,’ and ‘high-level group.’ Second,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gender, career activity participation satisfaction, career experience participation assistance, entrepreneurship development and start-up experience education participation satisfaction, career information need, conversation with parents, career information awareness, desired career preparation, learning motiv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latent profiles at the individual-level. Also, perception of the appropriateness of entrepreneurship cultivation and start-up experience education recognized by career teachers was derived as predictive factors that distinguish the potential class was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latent profiles at the school-leve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백승희. (2023).고등학생들의 진로개발역량 영향요인 탐색. 직업교육연구, 42 (4), 55-71

MLA

백승희. "고등학생들의 진로개발역량 영향요인 탐색." 직업교육연구, 42.4(2023): 55-7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