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아동의 학교준비도 프로그램(School Readiness Program)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이용수 114
- 영문명
-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School Readiness Program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 발행기관
-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김은지 곽보경 박혜연
- 간행물 정보
- 『재활치료과학』제12권 제3호, 7~18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장애아동의 학교준비도 프로그램을 다룬 문헌을 분석함으로써 연구의 대상자, 프로그램의 제공자, 기간, 요소 및 결과 등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PubMed, Embase, Web of Science, 학술연구정보서비스(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를 사용하여 문헌을 수집하였다. 주요 검색어는 “School readiness” AND (“Occupational Therapy” OR “Rehabilitation”), “학교준비도” AND (“작업치료” OR “재활”)을 사용하였다. 선정기준과 배제기준을 통하여 최종 8편의 연구가 선정되었다.
결과 : 학교준비도 프로그램 유형에는 복합적 기능 훈련, 운동 기술 훈련, 부모교육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프로그램들이 있었고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 유형은 복합적 기능 훈련이었다. 프로그램의 제공자는 작업치료사, 심리학자, 물리치료사, 언어치료사, 사회복지사, 교육자가 있었고 심리학자가 가장 많은 연구를 진행하였다. 중재 프로그램의 구성요소는 학업 기능, 운동 기능, 사회적 기능, 부모교육, 기타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학업 기능과 사회적 기능이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프로그램 적용 결과다기능적 기술, 문해력, 양육 기술, 대동작⋅소동작 기능의 향상을 나타냈다.
결론 : 본 연구는 장애아동의 학교준비도 프로그램 유형, 제공자, 중재 요소, 결과 등을 분석하여 학교 기반 작업치료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최근 학교준비도 프로그램에 관한 관심과 연구는 증가하고 있으며 작업치료사들도 학교 관련 재활 분야에서 역할을 정립하여 다양한 학교 기반 작업치료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confirm the research characteristics by analyzing the literature that applied the school readiness program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Methods : Studies were collected from the PubMed, Embase, Web of Science, and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databases. The key terms were “School readiness” AND (“Occupational Therapy” OR “Rehabilitation”) in English and Korean. Total eight articles were selected through the selection and exclusion criteria.
Results : The programs included multi-type training, motor skill training, parent training, and mobile application training. The providers were psychologists, occupational therapists, physical therapists, speech pathologists, community workers, educators, and the psychologists who conducted most of the research. The program factors can be classified into academic function, motor function, social function, parental training, and others. Academic and social functions accounted for the largest proportion of the respondents. The intervention improved multiple skills, literacy, parenting skills, and gross fine motor function.
Conclusion : This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school-based occupational therapy by analyzing school readiness program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Recently, interest in and research on school readiness has increased. Occupational therapists should also establish their roles in the field of school-related rehabilitation and provide various school-based occupational therapies.
목차
Ⅰ. 서 론
II.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 찰
V.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 간호대학생의 인공지능 활용 간호수행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국내 의료기관의 환자안전사고 관련 요인 분석: 2019-2022년 환자안전보고 데이터 활용 이차분석 연구
- 지역사회 인지저하 전·후기 노인의 건강 및 돌봄 요구 실태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Clinical outcomes of using demineralized dentin matrix bone grafts and HA-coated implants in medication-related osteonecrosis of the jaw
- Surface modification of Zr implants through Micro-Arc Oxidation and in-vitro evaluation of physiological reaction – A systematic review
- Prognosis of 3 mm diameter two-piece implants immediately placed after anterior teeth extractio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