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농촌 지역 노인 우울증 및 치매 예방을 위한 사회적처방의 효과평가
이용수 154
- 영문명
- Effectiveness of Social Prescribing for Preventing Depression and Dementia of the Elderly Living in the Rural Area
- 발행기관
- 한국농촌간호학회
- 저자명
- 조혜연 이호철 남은우
- 간행물 정보
- 『한국농촌간호학회지』제18권 제1호, 1~10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간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a social prescribing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in the rural community.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for this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n=76) completed a 8-week intervention of social prescribing, while the control group (n=39) only participated in pre- and post- need assessment from April 2021 to October 2022. A Wilcoxon signed rank tes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 social prescribing program on the level of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of the participants. Results: The level of cognitive function was improved significantly in the experimental group (p<.05)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control group. Depression has been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p<.01),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social prescribing program is effective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nd reducing depression of the elderly living in the rural area. Therefore, a social prescribing program can be utilized as a preventive program for dementia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목차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도시 규모 별 청소년의 건강생활 실천 차이와 관련 요인
- 간호대학생의 가상현실 기반 해부학교육 프로그램의 사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코로나19 대유행 시 지역사회 요양병원 종사자의 근무경험: 혼합연구방법
- TBL을 활용한 블렌디드 러닝 생명윤리 프로그램이 간호학과 학생들의 윤리적 의사결정 자신감, 비판적 사고성향, 도덕적 민감성, 학업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농촌 지역 노인 우울증 및 치매 예방을 위한 사회적처방의 효과평가
- 보건진료 전담공무원의 코로나 19 대응을 위한 교육 현황 및 업무피로도에 미치는 영향
- 경상남도 간호사의 직장선택, 직무수행의 어려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간호학분야 BEST
- 인공지능을 적용한 국내 간호교육 연구 동향 분석
- 청소년의 취침 전 스마트폰 사용 시간과 수면의 질과의 관련성
- 간호대학생의 인공지능에 대한 지식, 인식 및 수용태도가 인공지능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의약학 > 간호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과 간호사 대상 시뮬레이션 기반 환자안전교육에 대한 주제범위 문헌고찰
- 초기 당뇨병 환자의 안저검사 수검 관련 요인
- 전문대학 간호학과 임상실습교육의 현황과 임상간호교수제에 대한 인식 조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