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애학생 의사소통에 관한 초임 특수교사의 경험과 지원 요구에 관한 질적 연구

이용수 54

영문명
A Qualitative Study on No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of Communication with Students with Disabilities
발행기관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정연 허유성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제16권 제2호, 65~90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6.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초임 특수교사가 경험한 장애학생의 의사소통과 그에 관한 지원 요구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최근 1년 안에 신규로 발령받은 초임 특수교사 9명을 대상으로 2회의 집단 심층면담(FGI)을 실시하였다. 여교사 6명, 남교사 3명이 참여하였다. 초임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의사소통 경험 및 지원 요구와 관련하여 집단 심층면담을 실시한 결과, 대주제 3개와 13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첫째, 3개의 대주제는 ‘학생과 의사소통하는 것의 의미’, ‘의사소통 경험’, ‘의사소통 교수역량을 높이기 위한 지원’ 등으로 구분하였다. 둘째, 하위주제로는 ‘3월, 고립된 아이들, 관계 맺기의 시작, 수업으로 시작하는 소통하기, 이론서와는 다른 낯선 교실, 학생에 대한 오해, 교과수업과 생활지도의 사이, 시행착오의 연속, 수업 전문성에 대한 불확신, 교직 적응 시간 확보하기, 의사소통 교육의 목적과 목표 공유하기, 증거 기반의 실제 찾기, 의사소통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 읽기, 협력으로 돌파하기 등이 도출되었다. 이를 통해 초임 특수교사가 의사소통의 관점에서 바라는 보는 현재의 교실, 학생, 수업의 모습에 비추어 그들을 체계적으로 지원할 필요성이 드러났다. 또한 교원양성기관에서의 AAC를 포함한 의사소통 교육의 강화, 초임 특수교사를 배려하는 학교문화의 중요성, 그리고 이와 관련하여 업무를 줄여주어 그들이 교직을 준비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제공할 필요성 등이 제기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related to communication of no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ith students with disabilities. Two times of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9 no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were newly appointed within the last year. 6 were female and 3 were male participants. As a result, three major themes and thirteen sub-themes were identified. The three major themes were categorized as 'the meaning of communicating with students,' 'experiences of communication education,' and 'support for enhancing communication teaching capacity.' The sub-themes included 'isolated students in March,' 'beginning of building relationships,' 'communication through class activities,' 'unfamiliar classrooms compared to theoretical knowledge,' 'misunderstandings about students,' 'balancing curriculum and life guidance,' 'trial and error,' 'uncertainty about teaching expertise,' 'securing adaptation time to teaching,' 'sharing communication education goals and objectives,' 'finding evidence-based practices,' 'understanding changes in the communication education paradigm,' and 'breaking through collaboration.'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Suggestions include improving communication education, such as AAC, in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considering no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school culture, and reducing workload to provide adequate preparation time.

목차

Ⅰ. 서 론
II.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정연, 허유성. (2023).장애학생 의사소통에 관한 초임 특수교사의 경험과 지원 요구에 관한 질적 연구.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16 (2), 65-90

MLA

김정연, 허유성. "장애학생 의사소통에 관한 초임 특수교사의 경험과 지원 요구에 관한 질적 연구."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16.2(2023): 65-9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