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생들의 가정 소득 수준과 자기존중감 및 창의성의 관계

이용수 7

영문명
The Relationship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Household Income, Self-esteem, and Creativity
발행기관
대한사고개발학회
저자명
김석화 김정희
간행물 정보
『사고개발』제5권 제1호, 1~18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6.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의 가정 소득 수준과 자기존중감 및 창의성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있다. 서울특별시 소재 D초등학교 3학년 저소득층 아동 29명, 일반소득층 아동 41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자기존중감 검사(일반적, 사회적, 가정적, 학업적)와 창의성 검사(유창성, 융통성, 독창성)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전체 자기존중감과 대부분의 하위요인들에서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하지 않지만 전체적으로 일반소득층 아동의 자기존중감이 저소득층 아동에 비해 높았다. 특히 사회적 자기존중감에서는 일반소득층 아동의 자기존중감이 저소득층 아동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창의성 점수와 소득 수준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전체 창의성과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의 하위요인 모두에서 일반소득층 아동의 점수가 저소득층 아동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생들의 자기존중감(일반적, 사회적, 가정적, 학업적)과 창의성(유창성, 융통성, 독창성)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을 것이라는 가설은 일부 긍정되었다. 먼저 저소득층 아동의 자기존중감과 창의성의 상관관계를 보면, 창의성 하위요인 및 전체 창의성은 자기존중감의 모든 하위요인 및 전체 자기존중감과 상관관계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반면 일반소득층 아동의 자기존중감과 창의성은 융통성과 가정적 자기존중감 및 전체 자기존중감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독창성은 일반 자기존중감, 학업적 자기존중감, 그리고 전체 자기존중감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전체 창의성도 가정적 자기존중감, 전체 자기존중감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creativity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level of domestic income. For this purpose, the study divided household income level into two: low-income and average-income. Then, 29 students of low-income families and 41 students of average-income from the 3rd-grade elementary students from D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in order to examine their self-esteem(general, social, domestic and school performance-related) and creativity(fluency, flexi- bility and originality). As statistical methods, Cronbach's coefficient was calculated to verify the credibility of the examination tools, and the analysis of t-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research variables. Fir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st of sub-factors and entire self-esteem, but the self-esteem of children from average-income families was largely higher than the counterparts from low-income families. Especially it was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high in social self-esteem.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ntire scores of creativity (p<.001) and the scores of children from average- income families had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from low-income families in all of the sub-factors such as fluency (p<.001), flexibility (p<.001) and originality(p<.001). That is, it has been observed that income level and creativity were highly correlated. Third, the self-esteem and creativity of children from average-income familie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flexibility, domestic, and overall self-esteem, and their originality ha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general, performance-related and overall self-esteem. Overall creativity also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domestic and overall self- esteem.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석화,김정희. (2009).초등학생들의 가정 소득 수준과 자기존중감 및 창의성의 관계. 사고개발, 5 (1), 1-18

MLA

김석화,김정희. "초등학생들의 가정 소득 수준과 자기존중감 및 창의성의 관계." 사고개발, 5.1(2009): 1-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