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문화 시대의 지역문화 및 문화 교육 전문가 영입에 관한 연구
이용수 20
- 영문명
- A study on the regional culture and scout of cultural education expert in the multicultural age
- 발행기관
- 한국문화예술교육학회
- 저자명
- 곽미정 이진경 최성윤
- 간행물 정보
- 『모드니예술』제19호, 55~68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Community cultural development has a very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people and the environment of the society. The culture of the community expands and develops without being limited to peripheral culture when approached from the ecological system aspect surrounding humans. Various cultures can be derived in terms of 'approach in the ecological system'. The cultural development of local communities can have an important impact o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local residents, including changes and dynamics that preserve the uniqueness of the region, by rejecting the global phenomenon of the past. In this environment, continuous development of culture is possible, and it shows that human culture has great potential to grow with the environment. In particular, promoting the cultural industry and local culture has been successful in some areas, and is becoming part of a global and ecological project that draws meaningful exchanges and empathy with outsiders. Of course, it cannot be said that all cultures have only success stories, but there are valuable advantages inherent in culture. The function of culture is the same as an organism that opens up the possibility of awakening the capabilities and potential of local residents, exchanges and sympathizes with each other, and conveys their lives. In other words, the culture itself aims to look like a large living organism. In addition, if the principle that humans are part of the entire culture is practiced, the field of community cultural discourse can continue to unfold.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Seokyeong University in 2020.
목차
Ⅰ. 들어가며
Ⅱ. 문화의 유형과 속성
Ⅲ. 문화적응의 의미 및 문화교육
Ⅳ. 문화의 기능 및 변화
Ⅴ. 문화의 구성 및 체계
Ⅵ. 다문화 시대의 문화고찰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숏폼 영상의 경험적 특성이 브랜드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 ‘메타버스 기술을 이용한 전시 공간과 활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