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남권역 우량 산림습원의 관속식물상 변화 및 보전방안
이용수 18
- 영문명
- Distribution and Conservation plan of Vascular Plants in Outstanding Forest Wetlands in Jeonnam Area
- 발행기관
- 한국습지학회
- 저자명
- 이종원 윤호근 강신호 안종빈
- 간행물 정보
- 『한국습지학회지』제24권 제4호, 224~255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전남권역 우량 산림습원 32개소를 대상으로 1차 조사와 2차 조사에서의 관속식물상 변화를 살펴보고, 이를바탕으로 우량 산림습원의 향후 모니터링 체계구축과 효과적인 관리를 진행하고자 수행되었다. 조사는 2015년부터 2021 년까지 조사지역을 4-5년 주기로 계절별로 2회 이상 조사를 실시하였다. 전남권역 우량 산림습원 32개소의 식물상변화는 103과 311속 496종 16아종 38변종 6품종 556분류군에서 111과 362속 599종 16아종 51변종 8품종 674분류군으로 증가하였다. 한반도 특산식물은 12분류군에서 16분류군, 한반도 관속식물 적색목록은 18분류군에서 24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95분류군에서 123분류군, 한반도 석호식물은 286분류군에서 328분류군, 침입외래식물은 17분류군에서 26분류군으로 전체 식물상이 증가함에 따라 특기할만한 식물도 동시에 증가하였다. 하지만 느리미고사리, 나도고사리삼, 개쓴풀, 개박하 등은 지역적으로 절멸하여 현지 내외 복원 전략이 수립되어야 한다. 습지선호도에 따른 유형이구분된 식물은 절대습지식물은 69분류군에서 78분류군, 임의습지식물은 63분류군에서 69분류군, 양생식물은 64분류군에서 82분류군, 임의육상식물은 85분류군에서 96분류군, 절대육상식물은 275분류군에서 348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습지식물류의 분포 비율은 약간 감소하고 육상식물의 분포 비율은 다소 증가하여 산림습원 육화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고경계를 구분할 수 있는 조사기법 등을 개발되어야한다. 그리고 산림습원을 효과적으로 보전할 수 있는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으로 확대 지정하여 체계적으로 관리·감독해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changes in vascular flora in the first and second surveys targeting 32 outstanding forest wetlands in Jeonnam area including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based on this, establish a future monitoring system and effectively manage the excellent forest wetlands. The survey investigated the area seasonally every 4-5 years from 2015 to 2021. The change of flora of 32 excellent forest wetlands in Jeollanam-do increased from 103 families, 311 genera, 496 species, 16 subspecies, 38 varieties, 6 varieties, 556 taxa, to 111 families, 362 genera, 599 species, 16 subspecies, 51 varieties, 8 varieties, 674 taxa. Remarkable plants such as Red list and plants endemic to the Korean Peninsula increased also. However, Nepeta cataria and the like are exterminated locally, so an in situ and ex situ conservation strategy must be established. In the case of plants categorized according to wetland preference, the distribution ratio of such wetland plants slightly decreased and the distribution ratio of such terrestrial plants lightly increased for absolute wetland plants. It is necessary to prepare countermeasures for the terrestrialization of forest wetlands and to develop research techniques that can distinguish boundaries. In addition, the forest wetland should be systematically managed and supervised by designating it as a Forest Genetic Resources Reserve that can effectively conserve it.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하수처리장 내 나노 TiO2 입자 제거효율 예측을 위한 물질흐름모델 개발
- 중부 산림지역 내 도롱뇽 서식지 적합성 지수(HSI)에 관한 연구
- 전남권역 우량 산림습원의 관속식물상 변화 및 보전방안
- 서화천유역 장기 수질모니터링을 통한 수질평가 연구
- 서부 비무장지대 일원 미보고 산림습원의 특성 및 보전 가치 평가
- RCP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우리나라 계절 및 절기의 수문기상학적 특성 분석
- 낙동강유역 장기 수질모니터링을 통한 계절적 특성분석 연구
- 낙동강 수변공원에 서식하는 식물 군집의 종 다양성 분석
- 한강하구에서 하도변화와 식물천이의 상호작용에 따른 습지형성 기작
- 묵논습지 환경요인 및 생태영향권 내 토지피복유형 변화 분석
- 서열법(ordination)을 이용한 보성강 하천 습지의 식물군락 분포 특성 분석
- The Application of Nature-Based Technologies for Addressing Urban Environmental Problems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더보기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Evidence for Detecting K/Pg Boundary in Bade Section, Dohuk Area, Northern Iraq
- Application of High-Resolution Gravity and Magnetic Data for Fe-Mn-Pb Mineralization Prospecting in Jbel Skindis, Eastern High Atlas, Morocco
- 서부 경기지괴 태안지역의 구조 기하학적 형태 해석 연구: 고원생대 서산층군의 분포 양상으로부터의 이해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