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中国佛教考古学的调查、发掘与研究

이용수 9

영문명
The current state of research regarding Buddhist archaeoology in China
발행기관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저자명
龚国强
간행물 정보
『불교와 사회』제5권, 91~148쪽, 전체 58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12.31
9,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불교는 동한시기 중국으로 전래된 이래, 漢代와 三國, 兩晋시기의 불교수입과 모방의 첫 단계를 거쳐, 북조시기에서 唐代에 이르러 발전, 개조, 중국화의 단계에 들어간다. 이후, 송·원·명·청시기에 이르러 불교는 완전히 토착화되었다. 중국에서의 불교 발전은 인도 전통불교 사상의 기초와 더불어 중국적 상황에 대한 적응과 조절이라는 내재적인 요인이외에도 東晋이후 역대 통치자와 민중의 폭 넓은 지지라는 외부적인 요인으로 급격히 발전하였다. 불교는 중국 고유의 도교와 그 우월성을 두고 다투기도 하였으며, 대부분의 시기에는 보다 더 우월한 지위에 있었다. 그러므로 사찰과 불탑은 전국에서 발전하였으며 규모와 등급도 왕궁건축과 비견될 만 하였다. 아울러 승려의 수도 증가하여 그 세력이 전례 없이 규모에 이르렀다. 이에 중국 각 시기의 정치, 경제, 문화, 예술 등 여러 방면에게 중요한 역사적 영향을 남김으로써 국내외 학계의 중요한 연구대상이 되었다. 불교의 발전 과정에서 불교건축과 불교예술품은 불교사상의 전파와 해석에 중요한 실물 매개로 매우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중국에는 오랜 세월을 거친 수많은 불교 사찰과 불탑, 석굴, 불교조각과 벽화, 불교문헌, 불교용품 등의 유적과 유물이 남아 있다. 그러므로 불교고고학의 조사, 발굴, 연구는 중국 고고학의 중요한 구성요소로 독립된 분과학문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최근 중국불교고고학은 다양한 연구성과를 도출하였지만 많은 문제점도 남겨두고 있다. 석굴사의 分區, 分期는 더욱 전면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과제이다. 단일 지역 안 밖의 석굴사 사이의 관계와 석굴사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가 비교적 미약하다. 불사유적은 대부분 배치형태만이 발굴조사되었으며 전면적인 발굴조사가 진행된 불사유적은 거의 없다. 불사유적에 대한 고고학 보고서도 많이 부족하여 연구자의 수요를 만족 시키지 못하고 있다. 유구한 중국역사에 비해 불사유적이 많지 않은 점도 지적할 수 있다. 국내외 불사에 대한 비교연구도 매우 산발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불교종파와 불사의 형식에 관한 연구도 아직 규명되지 않고 있다. 불사와 도시, 鄕鎭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도 과제로 남겨져 있다. 중국불교고고학은 불교유적과 유물을 연구대상으로 하는 고고학의 분과학문이며, 대체로 석굴사와 평지, 산지사찰로 양분할 수 있다. 그 가운데에서 불교조상을 비롯하여 벽화, 비각, 석등(經幢), 불교용품 등은 고대사, 건축사, 미술사, 철학종교사, 문헌학, 민족학, 과기고고, 문화교류사 등의 다양한 연구분야와 밀접한 관련을 가진다. 현재, 중국석굴사고고학의 연구는 비교적 체계적이고 독립적 영역을 확보하고 있으며 다양한 성과들을 제시하고 있다. 평지와 산지사찰유적에 대한 고고학적 연구가 상대적으로 미약하며 앞으로 발전과 제고(提高)가 필요하다. 불교는 동한시기 중국으로 전래된 이래, 漢代와 三國, 兩晋시기의 불교수입과 모방의 첫 단계를 거쳐, 북조시기에서 唐代에 이르러 발전, 개조, 중국화의 단계에 들어간다. 이후, 송·원·명·청시기에 이르러 불교는 완전히 토착화되었다. 중국에서의 불교 발전은 인도 전통불교 사상의 기초와 더불어 중국적 상황에 대한 적응과 조절이라는 내재적인 요인이외에도 東晋이후 역대 통치자와 민중의 폭 넓은 지지라는 외부적인 요인으로 급격히 발전하였다. 불교는 중국 고유의 도교와 그 우월성을 두고 다투기도 하였으며, 대부분의 시기에는 보다 더 우월한 지위에 있었다. 그러므로 사찰과 불탑은 전국에서 발전하였으며 규모와 등급도 왕궁건축과 비견될 만 하였다. 아울러 승려의 수도 증가하여 그 세력이 전례 없이 규모에 이르렀다. 이에 중국 각 시기의 정치, 경제, 문화, 예술 등 여러 방면에게 중요한 역사적 영향을 남김으로써 국내외 학계의 중요한 연구대상이 되었다. 불교의 발전 과정에서 불교건축과 불교예술품은 불교사상의 전파와 해석에 중요한 실물 매개로 매우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중국에는 오랜 세월을 거친 수많은 불교 사찰과 불탑, 석굴, 불교조각과 벽화, 불교문헌, 불교용품 등의 유적과 유물이 남아 있다. 그러므로 불교고고학의 조사, 발굴, 연구는 중국 고고학의 중요한 구성요소로 독립된 분과학문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중국불교고고학은 불교유적과 유물을 연구대상으로 하는 고고학의 분과 학문이며, 대체로 석굴사와 평지, 산지사찰로 양분할 수 있다. 그 가운데에서 불교조상을 비롯하여 벽화, 비각, 석등(經幢), 불교용품 등은 고대사, 건축사, 미술사, 철학종교사, 문헌학, 민족학, 과기고고, 문화교류사 등의 다양한 연구분야와 밀접한 관련을 가진다. 현재, 중국석굴사고고학의 연구는 비교적 체계적이고 독립적 영역을 확보하고 있으며 다양한 성과들을 제시하고 있다. 평지와 산지사찰유적에 대한 고고학적 연구가 상대적으로 미약하며 앞으로 발전과 제고(提高)가 필요하다. 지금부터 중국불교고고학의 조사와 발굴에 대한 회고, 주요 연구과제 및 그에 관련 문제및 전망 등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 간략히 서술하고자 한다. 학계 여러분의 지도와 지적을 부탁드린다.

영문 초록

Buddhism was introduced into China from the Eastern Han Dynasty , and after imput and imitation of Chinese Buddhism to the Three Kingdoms period of the first stage, it entered a rapid development, reform and gradually phase of chinese localization during the period of the Northern Dynasties and Tang Dynasty, until Yuan, Ming and Qing Dynasties, Buddhism has been completely localized. Development of Buddhism in China, in addition to its intrinsic reason that on the basis of the traditional Indian Buddhist thought, then adapt and adjust to local conditions of China, but also because of the extenal factors that after the Eastern Jin Dynasty it got the strong support of the rulers and the general public. Therefore, its rapid development can not only rival with Taoism, many times, it even pressure over the Taoism. It led that Buddhist stupa in the country as well as everywhere, and the level of the scale was constantly improved. a few can be compared with the palace buildings. Meanwhile all the monks and nuns who constantly expanding forces have received unprecedented growth.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Buddhism, as the spread and interpretation medium of the Buddhist thought, Buddhist architecture and works of art played an irreplaceable important role. So Buddhist archaeological surveys, excavations and research have become an important part and branch of Chinese archaeology. Chinese Buddhist archaeology is an archaeology branch that study with the Buddhist relics. it is divided into two parts, cave temples, plains and mountain temple. Currently, Chinese Cave Temple archaeology research is comparatively systematic and independent. It also got a lot of rich results. But the flat and mountain temple ruins of archaeological research is relatively weak, it still needs further development and improvement. Although Chinese Buddhist archaeology have got great achievements. there are still many problems. Cave Temple partitions, staging still needs to be fully carried out. Relationships across regions and between regions within the cave temples and the comprehensive study of the cave temples are still relatively weak. There are many Buddhist relics that only be excavated of the layout. There are almost no Buddhist temple ruins that were completely excavated. The reports of the Buddhist archaeological sites is so rarely that it can not fulfill with the needs of researhers. Comparative Study of fragmented temple is not comprehensive enough. Buddhist sects and Buddhist temples in the form of relationship is not clear and its relationship with are Cities, towns, etc. are worth to explore. In recent years, more and more scholars are concerned and paying attention to the Buddhist archaeology.Surveys and excavations of the ruins began to increase.it greatly promoted the development of Buddhism-related archaeological research.Related researches become more sophisticated, systematic, and technological. It shows that the development of Chinese Buddhist archeology is incomparably great.

목차

1. 석굴사고고학의 조사와 발굴
2. 평지와 산지 불교사찰 유적의 고고조사와 발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龚国强. (2013).中国佛教考古学的调查、发掘与研究. 불교와 사회, 5 (), 91-148

MLA

龚国强. "中国佛教考古学的调查、发掘与研究." 불교와 사회, (2013): 91-1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