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발달장애학생 대상의 스마트기기 기반 AAC 중재 국내 연구 동향

이용수 321

영문명
Trend Analysis of Smart Device-Based AAC Interventions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South Korea
발행기관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송(Kim, Song) 김정연(Kim, Jeongyoun)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제15권 제3호, 185~204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9.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발달장애학생을 대상으로 국내에서 이루어진 스마트기기 기반의 AAC 중재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1년부터 2021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22편의 논문을 분석자료로 활용하여 전반적인 동향, 독립변인, 종속변인 및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스마트기기 기반의 AAC 중재 연구는 분석 초기에 비해 최근에 발표된 수가 다소 적었으며, 특수학교의 초등학생,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설계는 단일대상연구가 가장 많았다. 둘째, 중재 전략은 직접교수, 환경중심 언어중재, 스크립트 활동 등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중재 도구는 태블릿 PC를, 소프트웨어는 마이토키 프로그램을 사용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중재 장소는 특수학교, 가정, 지역사회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재의 목적은 의사소통 행동의 향상 외에도 읽기 기술, 문제행동 중재 등으로 나타났으며, 목표로 한 의사소통 기능은 요구하기, 반응하기, 인사하기 등 발달 초기 단계의 낮은 수준의 기능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스마트기기 기반 AAC의 긍정적인 중재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발달장애학생의 AAC 지원 방안과 발전적 방향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study investigated the research trend about smart device-based AAC intervention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South Korea to propose directions for further research. 22 articles from South Korea’s domestic journals during the period of 2011 to 2021 were examined focusing on the overall trend, dependent and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results. The results suggest that, first,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mainly studied, and the most frequent research design was single subject research. However, the number of researches has been decreased during the period. Second, intervention strategies diversified including direct instruction, milieu teaching, script activities. Tablet PC and Mytalkie were the major hardware and software for the studies, and the most frequent place of intervention was special school, followed by home, community. Third, the main purpose of intervention was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behaviors of low standard, such as to request, to respond and to greet, in addition to cultivating reading skills and meditating problem behaviors. Forth, most researches found a positive intervention effect of smart device-based AAC. Based on the results, further directions for the research and support plans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using smart device were discussed.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송(Kim, Song),김정연(Kim, Jeongyoun) . (2022).발달장애학생 대상의 스마트기기 기반 AAC 중재 국내 연구 동향.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15 (3), 185-204

MLA

김송(Kim, Song),김정연(Kim, Jeongyoun) . "발달장애학생 대상의 스마트기기 기반 AAC 중재 국내 연구 동향."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15.3(2022): 185-20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