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애청소년의 전환프로그램

이용수 72

영문명
Transition Program for Youth With Disabilities: Research Trend Analysis and Systematic Review
발행기관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저자명
안수빈(An, Su-bin) 박혜연(Park, Hae Yean)
간행물 정보
『재활치료과학』제11권 제3호, 23~36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의약학 > 의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8.31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전환프로그램 연구동향과 장애청소년을 대상으로 국내외 전환프로그램의 중재 및 효과를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학교 및 지역사회 관련 기관들과 협력하여 성인생활의 모든 측면을 포함할수 있는 중재 전략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 학술연구정보서비스(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Pubmed, Web of Science(WoS)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2006년부터 2021년까지의 게재된 논문을 검색하였다. 주요검색어는‘Disability’ AND (‘Adolescents’ OR ‘Young adult’) AND (‘Transition education’ OR ‘Transition program’)를 사용하였다. 최종적으로 7편의 국내외 논문을 본 연구의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여 전문을검토하였다. 또한, WoS(Web of Science) 플랫폼과 VOSviewer(version 1.6.16, CWTS, Netherlands, 20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키워드와 국가 관계를 분석하고 시각화하였다. 결과 : 7개의 논문에서 참여한 대상자를 유형별로 분석한 결과, 대상자는 ASD, ADHD, ID, DD, physical disability 총 5가지로 분류되었다. 중재에 사용된 영역은 크게 직업(학업), 자기관리(시간), 상호작용(대인관계, 의사소통) 3가지 범주로 혼합되어 실시되었다. 중재 결과 7편 중 1편을 제외하고는 사회성및 적응, 삶의 질, 일상생활활동 세 가지 분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분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결론 : 본 연구는 전환프로그램의 연구동향을 파악하면서 프로그램의 적용과 그 효과를 정리하여 다양한전문가와의 교류하는 방향성을 제시하는 동시에 단편적인 측면이 아닌 성인생활의 모든 측면을 확대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 This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data on intervention strategies that occupational therapists can access by systematically analyzing the intervention and effectiveness for youth with disabilities. Methods : The RISS, PubMed, and Web of Science databases were used to search for papers published between 2006 and 2021. The keywords were “Disability AND Adolescents OR Young adult AND Transition education OR Transition program”. Seven papers were selected for analysis, and the full text was reviewed. The keywords and national relations were analyzed and visualized using the WoS (Web of Science) and VOSviewer programs. Results : The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to five types (ASD or ADHD, ID, DD, and physical disability). The areas used for the intervention were mixed into three categories: occupation (academic), self-management (time), and interaction (personal relations and communication). Sociality and adaptation, quality of life, and at least one of the three categories of daily life activitie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Conclusions :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expand the area where only OTs can contribute while grasping the research trend of the conversion program and presenting the direction of exchange with various experts by organizing the application and its effec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수빈(An, Su-bin),박혜연(Park, Hae Yean). (2022).장애청소년의 전환프로그램. 재활치료과학, 11 (3), 23-36

MLA

안수빈(An, Su-bin),박혜연(Park, Hae Yean). "장애청소년의 전환프로그램." 재활치료과학, 11.3(2022): 23-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