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음악적 전이 능력 함양을 위한 감상영역 온라인 이러닝 콘텐츠 설계 양식 개발

이용수 270

영문명
Development of Online e-Learning Content Design Form in the Area of Appreciation to Cultivate Musical Transferabilities
발행기관
한국음악교육공학회
저자명
이보림(Lee, Bolim)
간행물 정보
『음악교육공학』제50호, 155~175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1.3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교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음악감상수업 온라인 이러닝 콘텐츠 설계 양식을 개발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면수업과 달리 개인 교수형 이러닝 콘텐츠 수업 설계를 위한 논의가 다소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이에 따라 온라인 이러닝 콘텐츠에 적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음악감상교육 이러닝 교수 콘텐츠를 개발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개인 교수형 이러닝 콘텐츠를 위한 교수설계모형 전략을 고찰하고, 음악적 전이기반 감상수업모형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에 기반하여 음악 교과 내 감상영역을 위한 개인 교수형 이러닝 콘텐츠 설계 양식을 개발한 후, 이에 뮤지컬 ‘헤어 스프레이’ 중 <굿모닝 볼티모어> 악곡을 교수할 수 있도록 적용하였다. 이와 같은 음악적 전이 함양을 위한 감상영역 개인 교수형 이러닝 콘텐츠 수업 설계 연구를 진행하면서 얻게 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 실재감이 나타나도록 수업을 설계해야 한다. 둘째, 평가와 피드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며, 이에 대한 약속된 플랫폼이 명확하게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셋째, 학습자 흥미도가 떨어지지 않고 유지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수 자료 준비가 필요하다. 넷째, 공인된 정보의 활용 및 인용된 자료의 정확한 출처 명시가 필요하다. 다섯째, 학습 연계성이 특별히 더 고려되어야 한다. 여섯째, 개인 교수형 이러닝 콘텐츠 제작을 위한 교사 연수가 필요하다. 일곱째, 학습자의 음악적 전이가 촉발될 수 있는 장치가 다양하게 설정되어야 한다. 여덟째, 학습자의 음악적 참여가 지속될 수 있는 수업이 설계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음악적 특질이 잘 드러날 수 있는 감상수업이 되도록 설계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효과적인 비대면 음악감상 교수·학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학습자의 음악적 전이 능력이 함양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personal hanging e-learning content for online music listening classes for secondary school learners. In general, unlike face-to-face classes, it is true that discussions for designing individual hanging e-learning content classes are somewhat insufficient. Accordingly, music listening education e-learning professor content that can be used appropriately for online e-learning content will be developed. To this end, in this study, first, the instructional design model strategy for individual hanging e-learning content was considered, and the musical transfer-based appreciation class model was analyzed. And based on this, after developing a personal hanging e-learning content design form for the listening area in the music subject, it was applied to teach the music of Good Morning Baltimore in the musical Hair Spray. The implications gained from conducting a study on the design of individual hanging e-learning contents classes in the appreciation area to foster such musical transfer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design classes so that the instructor s sense of reality. Secon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evaluation and feedback, and the promised platform for this should be clearly established. Third, it is necessary to prepare various teaching materials so that the learner s interest is maintained without deteriorating. Fourth, it is necessary to use authorized information and specify the exact source of the cited data. Fifth, learning connectivity should be considered in particular. Sixth, teacher training is needed to produce personal hanging e-learning content. Seventh, various devices should be set up in which the learner s musical transition can be triggered. Eighth, classes should be designed in which learners musical participation can continue. Finally, it should be designed to be an appreciation class where musical characteristics can be well revealed.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effective non-face-to-face music listening teaching and learning can be carried out smoothly and that learners musical transfer ability can be cultivat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음악감상영역 온라인 이러닝 콘텐츠 설계 양식 개발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보림(Lee, Bolim). (2022).음악적 전이 능력 함양을 위한 감상영역 온라인 이러닝 콘텐츠 설계 양식 개발. 음악교육공학, 50 (), 155-175

MLA

이보림(Lee, Bolim). "음악적 전이 능력 함양을 위한 감상영역 온라인 이러닝 콘텐츠 설계 양식 개발." 음악교육공학, (2022): 155-17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