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공대 졸업생의 진로포부, 직무적합성, 조직적합성, 전공연관성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유형별 직장 잔류의도 차이

이용수 134

영문명
Latent Profile Types by Career Aspiration, Person-Organization Fit, Person-Job Fit, and Major Relevance and Group Differences in Intention to Stay of Engineering Graduates
발행기관
한국직업교육학회
저자명
김승현(Seunghyun Kim) 최바올(Baole Choi)
간행물 정보
『직업교육연구』제40권 제3호, 1~2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6.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공과대학 졸업생들의 진로포부, 직무적합성, 조직적합성, 전공연관성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유형을 확인하고, 각 유형에 따른 잔류의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하고, 잠재프로파일 유형의 따른 직장 잔류의도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를 위해 2019년 한 대학의 졸업생 취업실태조사에서 수집한 자료를 조사 담당자의 동의를 얻어 사용하였다. 이 조사는 졸업 후 5년 이내의 졸업생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본 연구에서는 전체 응답자 중 현재 직장에 재직 중이며, 전공에 공학계열으로 답한 477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한 결과 4개의 잠재프로파일 유형(낮은 포부-매우 낮은 적합성, 낮은 포부-낮은 적합성, 높은 포부-높은 적합성, 높은 포부-매우 높은 적합성)이 확인되었다. 둘째, 4개의 잠재프로파일은 잔류의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잔류의도는 높은 포부-매우 높은 적합성 집단이 가장 높았고, 높은 포부-높은 적합성, 낮은 포부-낮은 적합성, 낮은 포부-매우 낮은 적합성 순으로 도출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공과계열 대학생과 졸업생의 직업과 진로교육의 방향과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latent profile types according to career aspiration, job fit, organization fit, and major relevance of engineering college graduates, and to verify the difference in intention to stay for each type. To this end,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and a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difference in the intention to stay at work according to the types of latent profile. For the study,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 on the employment status of graduates of a university were used with the consent of the person in charge of the survey. This survey was conducted on graduates within 5 years after graduation, and data of 477 people who are currently employed and who majored in engineering were us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latent profile analysis, four types of latent profiles (low aspiration-very low fit, low aspiration-low fit, high aspiration-high fit, high aspiration-very high fit) were identified. Second, the four latent profiles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tention to stay. Intention to stay was derived in the order of high aspiration-very high fit group, followed by high aspiration-high fit, low aspiration-low fit, and low aspiration-very low fit.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e directions and implications of career and career education for engineering students and graduates were suggest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승현(Seunghyun Kim),최바올(Baole Choi). (2021).공대 졸업생의 진로포부, 직무적합성, 조직적합성, 전공연관성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유형별 직장 잔류의도 차이. 직업교육연구, 40 (3), 1-23

MLA

김승현(Seunghyun Kim),최바올(Baole Choi). "공대 졸업생의 진로포부, 직무적합성, 조직적합성, 전공연관성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유형별 직장 잔류의도 차이." 직업교육연구, 40.3(2021): 1-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