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농업기술센터 농산물 이력추적제 현장교육 실태분석

이용수 2

영문명
Situational Analysis of Agricultural Traceability Education in Local Area in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
발행기관
한국농산업교육학회
저자명
박성열(Sung-Youl Par) 이철희(Chul-Hee Lee) 남민우(Min-Woo Nam)차승봉(Seung-Bong Cha) 이현아(Hyun-Aha Lee) 박혜진(Hye-J
간행물 정보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제40권 제4호, 1~24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12.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농산물 이력추적제의 이용 활성화 및 확산․보급을 위하여 현장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농업기술센터 교육담당자와 소장 그리고 교육 수요자인 농업인 등을 대상으로 현행 교육실태를 중점 분석하여 향후 농산물 이력추적제의 성공적인 정착을 유도하기 위한 교육의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수행되었다. 농업기술센터의 소장 42명, 교육담당자 43명과 농업인 16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측정도구는 실태 분석 중심의 문항을 구성하여 필요한 경우 내용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사용된 통계방법은 빈도, 퍼센트, 평균, 표준편차와 같은 기술통계치와 조사대상자 그룹간의 차이검증을 위해 t-test, ANOVA 등을 수행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농산물 이력추적제의 현장교육에 있어서 소장이나 교육담당자가 가장 어렵게 느끼는 것은 교육준비 시간부족과 이력추적제에 대한 홍보의 어려움, 담당 전문인력의 부족 등이었다. 둘째, 농산물 이력추적제에 대한 인지도는 농업인들이 소장이나 교육담당자에 비해 덜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행 농산물 이력추적제 교육실태에 대한 만족도는 농업기술센터 교육담당자와 소장 간에 차이가 있었으나, 세 그룹 모두 2점대의 낮은 만족도를 표시하고 있었다. 넷째, 농산물 이력추적제 시행을 위한 교육의 도움도와 필요도는 비교적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소장이 농업인보다 더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농업인들의 이력추적제 교육에 대한 참여의향도는 매우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이력추적제의 세부 교육내용별 중요도에서는 이력추적제 우수 농가 및 노하우 소개, 이력추적제의 비전 제시 등의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이력추적제 교육의 방법적인 측면에서 이론+실기로 이원화하여 농촌진흥청이나 기술센터에서 역할 분담으로 수행하거나, 작목이나 품목별로 분리하여 실시하는 것 등을 바람직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identify the current situation of agricultural traceability education from farmers, extension educators and directors of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s and to present implications for on-site education and consulting method which bring out early adoption and successful diffusion of agricultural traceability system in local areas. Relating to the purposes, the researchers implemented mail survey and 165 farmers, 43 extension educators and 42 directors in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instrument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based on the purposes of the study. There were three different versions of questionnaires for each group. Based on the findings and statistical results of the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made. First, it was revealed both extension educators and directors considered lack of time and advertising traceability as barriers in terms of traceability education. Second, it was revealed farmers recognized less about traceability systems compared to extension educators and directors in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s. Third, there was a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extension educators and directors towards overall satisfaction of traceability education in local area. Fourth, the participants appraised the contents of education about traceability system at importance. Specially, they valued know-how and practice of advanced farmers adopting traceability system and vision and futuristic expansion at significance. Lastly, in terms of educational method, provincial extension office and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 should take each role according to its own infrastructure and mission. Furthermore, offline education has to go side by side with online education and education has to be offered in line with farmers’ agricultural produc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성열(Sung-Youl Par),이철희(Chul-Hee Lee),남민우(Min-Woo Nam)차승봉(Seung-Bong Cha),이현아(Hyun-Aha Lee),박혜진(Hye-J. (2008).농업기술센터 농산물 이력추적제 현장교육 실태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0 (4), 1-24

MLA

박성열(Sung-Youl Par),이철희(Chul-Hee Lee),남민우(Min-Woo Nam)차승봉(Seung-Bong Cha),이현아(Hyun-Aha Lee),박혜진(Hye-J. "농업기술센터 농산물 이력추적제 현장교육 실태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0.4(2008): 1-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