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특성화고졸 재직자 특별전형 활성화 방안
이용수 26
- 영문명
- Revitalization Plans for the Policy on the Special Admission for Specialized High School Graduates
- 발행기관
- 한국농산업교육학회
- 저자명
- 김진모(Jin-Mo Kim) 최동선(Dong-Son Choi) 주현미(Hyun-Mi Ju) 김선미(Sun-Mi Kim) 장상윤(Sang-Yoon Jang)
- 간행물 정보
-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제44권 제1호, 1~32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3.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졸 재직자 특별전형의 활성화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CIPP 모형을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하여 특성화고졸 재직자 특별전형에 대한 과정평가를 실시하였다. 자료는 설문조사, 인터뷰, 전문가 자문등을 통해 수집하였으며, 연구대상은 대학관계자, 교수, 재직근로자 등이었다. 연구 결과, 특성화고졸 재직자 특별전형의 문제점으로 제도에 대한 지지 기반 미흡, 대학의 인적·물적 인프라 미흡, 기업체의 지원 미흡, 제도 도입 과정의 비효율성, 수요자에 대한 관리 및 지원 체제 미흡 등이 도출되었다. 또한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수요자 접근성 제고, 생산성 향상, 안정적 정착 등의 세 가지 방향에 따라 11가지 활성화 방안이 제안되었으며, 이는 특성화고 학생들의 진로 경로를 유연화시키고 선순환적인 선취업 후진학 진학체제를 구축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revitalization plans for the policy on the ‘Special admission for specialized high school graduates’. To achieve the purpose, we conducted the policy diagnosis on the implementation process with modified CIPP model.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surveys and experts consultations. Research targets were university faculties and staffs, and working students who entered universities through the Special admission for specialized high school graduates. As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problems of the policy were identified as follows: ① Insufficient support from the stakeholders, ② Insufficient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③ Insufficient corporate support ④ Ineffective introduction process of the admission policy, ⑤ Insufficient management and support system for the working students who enrolled through the special admission. To solve these problems, 11 revitalization plans for the policy were suggested based on the accessibility improvement, productivity improvement and stable settlement of the policy.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making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career path more flexible and establishing a virtuous circle of Work-to-School career path system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절차, 모형 및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좋은 상담교사’에 대한 예비 교원의 인식
- 영어어문교육 제29권 제3호 목차
- From Reading Nonsensical Jabberwocky to Proposing Topics for English Pedagog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