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15개정 교육과정과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성취기준에 제시된 에너지 및 기후변화 교육내용 요소 분석

이용수 144

영문명
Analysis on the Content Elements of Energy and Climate Change Education Presented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발행기관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저자명
박재근(Park, Jae-Keun)
간행물 정보
『에너지기후변화교육』제10권 제3호, 225~236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1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5개정 교육과정과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분석하여 에너지 및 기후변화 교육의 적정성을 확보하고 바람직한 내용 요소 구성에 대한 시사점을 얻는 데 연구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개정 교육과정에서 에너지 교육 성취기준 내용 요소는 학년간 안배 및 분산적 배치, 학교급간 연계성을 잘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개념적 지식의 범위를 확장하고 내용을 추가하여 학년간 연계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기후변화 교육 성취기준은 초등학교에서는 주로 기후변화 원인에 집중되어 있고 중·고등학교에서는 기후변화 원인, 기후변화 영향, 기후 대응 등을 두루 포함하고 있다. 셋째, 특수교육과정 성취기준을 분석한 결과, 에너지 및 기후변화 교육내용 요소의 구성이 모두 제한적이고 불충분한 것으로 나타났다. 에너지 교육에서 지식뿐만 아니라 태도, 참여 측면의 성취기준을 보강하고, 특수교육 학생들에게 적합한 개념의 위계와 연계성 있는 성취기준을 제시하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기후변화 교육에서는 장애 학생들의 삶과 관련지어 의미가 있는 성취기준을 개발하고, 기후변화 대응의 필요성과 방안을 포함하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to secure the appropriateness of energy and climate change education and to obtain implications for the composition of content elem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 elements of the achievement standard for energy education seemed to be well secured the distributed arrangements between grades and linkages between schools. However,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linkages between grades by expanding the scope of conceptual knowledge and adding contents. Second,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climate change education were mainly focused on the causes of climate change in elementary school, and included the causes of climate change,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and response to climate in middle and high school.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it appeared that the content composition of energy and climate change education was both limited and insufficient. In energy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achievement standards in terms of not only knowledge, but also attitudes and participation, and present a hierarchy of concepts suitable for special education students and relevant achievement standards. In addition, climate change education should consider developing meaningful achievement standards in relation to the liv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including the necessity and measures for response to climate chang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재근(Park, Jae-Keun). (2020).2015개정 교육과정과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성취기준에 제시된 에너지 및 기후변화 교육내용 요소 분석. 에너지기후변화교육, 10 (3), 225-236

MLA

박재근(Park, Jae-Keun). "2015개정 교육과정과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성취기준에 제시된 에너지 및 기후변화 교육내용 요소 분석." 에너지기후변화교육, 10.3(2020): 225-2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