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박물관에서의 포용(inclusion)의 의미

이용수 460

영문명
The Meaning of Inclusion in the Korean Museums
발행기관
한국박물관교육학회
저자명
국성하(Kook, SungHa)
간행물 정보
『박물관교육연구』제24호, 17~35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우리나라에서 박물관교육은 포용성 확대의 방법으로 기능했다. 누구를 교육의 대상으로 삼을 것인가(포용), 누가 교육의 대상에서 제외되었나(배제)의 관점에서 교육을 실행하기 시작한다. 소외계층교육, 다문화교육 등이 박물관·미술관을 통해서 이루어졌고, 이는 우리나라의 포용성 또는 다문화성의 시초가 된다. 또한 법적, 제도적, 정책적 장치들에서 그 방법이 나타나 있다. 국내에서는 「문화기본법」, 「문화다양성 보호와 증진에 관한 법률」등을 제정·시행하였고, 「문화다양성 보호 및 증진 계획」, 「박물관·미술관 진흥 중장기 계획」 등을 성안했으며, 「무지개다리 사업」 등 다양한 포용적 사업이 운영되었다. 박물관교육이 보편화되기 전에는 박물관교육이 곧 포용으로 생각되었지만, 박물관교육이 보편화되면서는 박물관에서 배제되는 계층이 없는 것이 포용으로 생각되기에 이르렀다.

영문 초록

Museum education was a way of increasing inclusion in Korea. Museum educator started museum education from these questions; who should be the education participants(inclusion), who were the left over(exclusion). Education for the neglected classes, multi-cultural education carried out from museums, and these are the bases of museum inclusion or multi-culturalism. The ways of inclusion are in the various laws, institutions, and policies, such as 「Framework Act on Culture」, 「Enforcement decree of the Act on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Cultural Diversity」etc. Before the generalization of museum education one regarded the museum education as inclusion, after the generalization inclusion regarded as no left over in museums.

목차

I. 포용성 또는 다양성의 개념
II. 박물관교육의 변화로 이해한 한국박물관에서의 포용성의 양상
III. 박물관·박물관교육의 제도적 토대의 변화
IV. 박물관의 포용성과 박물관교육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국성하(Kook, SungHa). (2020).한국 박물관에서의 포용(inclusion)의 의미. 박물관교육연구, (24), 17-35

MLA

국성하(Kook, SungHa). "한국 박물관에서의 포용(inclusion)의 의미." 박물관교육연구, .24(2020): 17-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