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15 개정 미술교과서 한국화 교육에 관한 내용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이용수 81

영문명
A Study on Content Analysis & Improvement Method of the Korean Painting Education in the 2015 Revised Art Textbook : Centrally of Third & Fourth Grades in Elementary School
발행기관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저자명
김주령(Kim, Ju-Ryoung)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연구논총』제57권, 81~10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5.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8년 초등학교 3, 4학년부터 적용된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의거한 초등 미술교과서에 서술된 한국화교육에 대한 실태와 개선을 위한 방안 연구에 목적이 있다. 한국화교육은 올바른 전통적 가치관 정립뿐만이 아니라 현대회화를 이해하는 중요 요소로 평가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낮은 비중으로 다루어지고 있으며, 그 실태 및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도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과서가 처음 적용된 3, 4학년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4종 8권의 검정 미술교과서의 내용분석을 진행하였고, 교육실태 및 환경조사를 위해 현직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병행하였다. 교과서 분석에서 첫째, 정량분석을 통하여 한국화영역이 교과서 전체의 4.3% 수준으로 매우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도판분석을 통하여 한국화 도판이 적었으며, 내용 또한 조선시대에 편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내용분석을 통하여 한국화에 사용된 종이 표기가 교과서 내에서 차이를 보이거나 교과서별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넷째, 단원분석을 통하여 2015년 개정 중요 방향인 창의·융합에 대한 요소를 점검하였으나 시도에 비해 반영은 적었으며, 대부분 감상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교사 설문조사에서는 한국화수업은 전통계승을 위해 필요하지만 현실적으로는 수업비중이 낮으며, 원인으로 한국화이론 및 실기 부족, 교구 및 환경부족, 준비 번거로움 등을 꼽았다. 아울러 교구개발에 대한 높은 수요와 향후 교과서 개편시 한국화기법 등의 설명이 필요하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한국화교육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첫째, 한국화 전문지식 확충을 위해 한국화 전문인력의 미술교과서 집필진 참여 의무화 등으로 전반적인 이해도 향상이 필요하며, 교사 실기연수 확대, 한국화 관련 기법전수, 방과 후 활동을 이용한 사교육 확대, 교사 교과지도서 질적 향상 등 체계적 변화모색이 뒤따라야 한다. 둘째, 한국화수업 준비가 번거롭고 불편한 현실을 타개하기 위해 간편하면서도 규격화된 한국화교구를 개발해야 하며, 한지 등을 포함한 유통에 대한 제고도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한국화 관련요소에 대한 용어와 개념정리가 병행되어야 한다. 아울러 교재·교사 역량강화, 간소화된 교구개발, 용어·개념정리 등의 후속연구를 통하여 고유 문화유산인 한국화가 그에 걸맞은 교육영역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노력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and improvement methods of the Korean Painting Education described in the art textbook of elementary schools based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pplied from third & four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in 2018. The Korean Painting education was evaluated to be an significant factor in not only establishing appropriate traditional values, but also on understanding the modern painting, but it is handled in low portion, and studies on its actual state and improvement methods are inadequate. Accordingly, the third and fourth grade elementary students initially applied with the 2015 revised textbook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o perform content analysis on the revised art textbooks of 4 types and 8 textbooks, and survey was also performed subjected to current art teachers for the educational condition and environmental survey. Firstly in the textbook analysis, quant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at the portion of Korean Painting was only 4.3% of the overall text to be very low. Secondly, illustr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see that there were low portion of Korean Painting illustrations, and the contents were also focused on the Chosun Dynasty. Thirdly, content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at the paper notations used on Korean Paintings were different in the textbook or different between textbooks. Fourth, unit analysis showed that significant direction of the 2015 revision; elements on creativity·convergence was examined, but reflections in comparison with the attempts were low in portion, and most of them were focused on appreciation. In the survey conducted on teachers, Korean Painting class was required for succession of tradition, but realistically low in class portion, and the reasons were pointed out to be a lack of Korean Painting theory and practice, insufficient teaching aids and environment, and inconvenience in preparation. In addition, derived conclusions were high demand for developing teaching aids, and that description on the technique of Korean Painting is required on revising the textbook in the future. Based on these results, the following educational improvement methods of the Korean Painting are provided in this study. Firstly, the overall understanding improvements are required to expand the professional knowledge on Korean painting such as mandatory participation of the professional manpower on Korean Painting in the preparation of the art textbook, and systematic changes shall be followed including the expansion of practical training of the teachers, transferring the techniques related to Korean Painting, enhancing the private education using after-school activities, and qualitative improvement of the textbook manual for the teachers. Secondly, convenient and standardized Korean Painting teaching aids shall be developed to overcome the reality of difficulty and inconvenience in the preparation of Korean Painting class, and improvements are also required in the distribution including the Korean papers. Lastly, terms and concepts on the elements related to Korean Painting shall be arranged. Moreover, follow-up studies on strengthening the capabilities of the textbooks·teachers, development of simplified teaching aids, and arrangement of terms·concepts, etc. are to be conducted to put efforts for the unique cultural heritage of the Korean Painting to be stabilized as a suitable educational curriculum.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및 관련이론 검토
Ⅲ. 2015 개정 초등 3, 4학년 미술교과서 한국화 관련 내용의 구성방식과 내용분석
Ⅳ. 교사 설문조사 분석의 틀
Ⅴ. 2015개정 3, 4학년 미술교과서 한국화교육 개선방안 제안
Ⅵ.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주령(Kim, Ju-Ryoung). (2019).2015 개정 미술교과서 한국화 교육에 관한 내용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미술교육연구논총, 57 , 81-108

MLA

김주령(Kim, Ju-Ryoung). "2015 개정 미술교과서 한국화 교육에 관한 내용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미술교육연구논총, 57.(2019): 81-10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