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학교 자유학기제 효과성 분석 연구

이용수 319

영문명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Free Learning Semester in Middle School
발행기관
교육종합연구원
저자명
황연우(Hwang, Yeonu) 유평수(Yu, Pyeong-su)
간행물 정보
『교육종합연구』제18권 제3호, 105~125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9.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중학교 자유학기제의 효과성을 분석하기 위해 학년별로 자유학기제 만족이 진로성숙태도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규명하였다. 분석대상은 전라북도 중학교 9개교 1, 2, 3학년 학생 417명이다. 분석결과 자유학기제 만족수준은 보통 이상이었고, 진로성숙태도는 높은 수준을 보였다. 학년별로 차이를 살펴보면 자유학기제 만족수준은 1, 2학년이 3학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또한 진로성숙태도는 2학년, 1학년, 3학년 순이었고, 특히 2학년이 3학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학년별로 자유학기제 만족과 진로성숙태도의 상관관계는 1학년(r= .6 이상)이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3학년(r=.3 ~ 4)은 낮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2학년은 상관관계가 없었다. 학년별로 자유학기제 만족이 진로성숙태도의 구성요인에 미치는 영향은 1학년과 3학년의 자유학기제 만족이 진로성숙태도의 모든 구성요인에 영향을 미쳤다. 1학년의 자유학기제 만족이 진로성숙태도의 구성요인에 대해 30 ~ 40%의 설명력을 보였다. 그러나 3학년은 10% 내외의 설명력에 그쳤다. 2학년은 자유학기제 만족이 진로성숙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연구결과에 따른 제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유학기제를 포괄한 중학교 진로교육에 대해 학년별 접근법을 적용해야 한다. 둘째, 자유학년제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변인과 학교여건을 탐색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dentified the difference in the effect of free learning semester on career maturity by grade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free learning semester in middle school. The analysis targets 417 students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grades of nine middle schools in Jeonbuk Province.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satisfaction level of free learning semester was above average, and career maturity level was high. Looking at the differences by grade, the satisfaction level of free learning semeste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in the first and second grades than in the third grades. Also, career maturity was in the order of second grade, first grade, and third grade, and especially second grad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ird grade. For each grade, the cor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with free learning semester and career proficiency was high in the first grade (r= 6.6 or higher), while the third grade (r=.3 to 4) showed a low static correlation. However, the second grade had no correlation. The effect of the satisfaction of free learning semester on the components of career maturity by grade on the basis of the satisfaction of free learning semester for the first and third graders affected all the components of career maturity. Satisfaction with free learning semester of the first grade showed 30 to 40 percent of the explanation on the components of career maturity. However, the third-year student had only about 10 percent of the explanation. Satisfaction with free learning semester did not affect career maturity in second grade. Proposals based on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school year-by-year approach should be applied to middle school career education that covers free learning semester. Second, it is necessary to explore various variables and school condition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free learning semester.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연우(Hwang, Yeonu),유평수(Yu, Pyeong-su). (2020).중학교 자유학기제 효과성 분석 연구. 교육종합연구, 18 (3), 105-125

MLA

황연우(Hwang, Yeonu),유평수(Yu, Pyeong-su). "중학교 자유학기제 효과성 분석 연구." 교육종합연구, 18.3(2020): 105-12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