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구술성과 설화 교육의 새로운 방향

이용수 154

영문명
A New Direction of Folktale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Orality
발행기관
한국구비문학회
저자명
심우장(Sim, Woo Jang)
간행물 정보
『구비문학연구』제57집, 139~188쪽, 전체 50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6.30
8,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중고등학교에서 설화를 배우는 이유는 설화를 통해서 서사에 대한 구비문학적 이해의 틀을 갖추고, 서사 갈래의 보편성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자는 것이다. 텍스트 중심의 이해가 갖는 한계를 인식하고, 이를 구비서사의 특징적인 면과 연결시켜서 서사이해의 새로운 전형을 마련하자는 것이다. 하지만 실제 교육 과정에서는 이러한 설화교육의 의의가 제대로 실현되고 있지 못하다. 여전히 문자문화적인 관점에서 온전히 벗어나지 못하고 있고, 설화의 구비문학적 특징에 대한 인식도 많이 부족한 상태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설화 교육의 방향을 새롭게 모색해야 한다. 이러한 차원에서 관점이나 방법론으로서의 구술성은 설화 교육과 관련하여 많은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구비문학의 정체성을 새롭게 이해하려는 고민들이 구술성이라는 범주에 잘 녹아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우선 설화 갈래에 대한 구술문화적 이해를 심화시켜야 한다. 설화에 나타난 구술문화적인 표현의 특징, 패턴이나 이야기스키마에 대한 심도 깊은 이해가 있어야만 소설과 견주지 않고 설화를 설화답게 이해할 수 있다. 나아가 맥락적 이해에 가장 적합한 갈래가 설화라는 점도 강조되어야 한다. 맥락과 결합하면서 다양한 의미를 생성해내는 역동적인 움직임을 설화를 통해서 이해한다면 문학에 대한 이해가 심화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설화를 통해 현실 담론을 만들어내는 작업도 무척 중요하다. 구술문화에서 설화가 담당했던 역할이 바로 이것이기 때문이다. 통념적 지식에 기대어 변화하는 현실을 포착하기 위해서는 설화를 활용하여 끊임없이 새로운 담론을 만들어내야만 한다. 설화는 특유의 붙임성으로 인해 다양한 맥락과 쉽게 결합될 수 있기 때문에 문학의 담론 생성 역할을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는 최적의 갈래이다.

영문 초록

The reason for learning folktales i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is to establish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narrative through oral literature and to reconsider the universality of narrative. The subject aims to recognize the limitations of text-based understanding, connect them with the characteristic aspects of the oral narrative, and develop a new model of narrative understanding. However, in the actual curriculum, the significance of this folktale education is not properly realized. It has not yet completely escaped from the character-cultural point of view, and there is a lack of awareness about the oral literature characteristics of the folktale.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find a new direction for folktale education. In this regard, we think that orality as a viewpoint or methodology has many possibilities in relation to folktale education. This is because the issue of trying to understand the identity of oral literature is well integrated in the category of orality.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deepen the oral cultural understanding of the genres of folktale. We need to have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patterns, or story schemata of oral cultural expressions in a folktale to understand the folktale as a folktale instead of as competition with a novel. Furthermore, it should be emphasized that the most suitable genre for contextual understanding is the folktale. The understanding of literature can be deepened if the dynamic movement that creates various meanings in combination with the context is understood through folktale. In addition, it is very important to create discourse through folktale. This is because this is the role that folktale played in the oral culture. In order to capture the changing reality leaning against conventional knowledge, it is necessary to constantly create new discourse using folktales. Folktale is the best genre to understand and apply the role of discourse creation in the literature because it can be easily combined with various contexts due to its unique attachment.

목차

1. 문제제기
2. 설화 교육의 현황
3. 구술성의 이해와 설화 교육
4. 설화 교육의 새로운 방향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심우장(Sim, Woo Jang). (2020).구술성과 설화 교육의 새로운 방향. 구비문학연구, 57 , 139-188

MLA

심우장(Sim, Woo Jang). "구술성과 설화 교육의 새로운 방향." 구비문학연구, 57.(2020): 139-18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