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교 유형과 학업성취도 변화: 특목고와 자사고의 환상 효과(phantom effect)

이용수 962

영문명
School type and changes in academic achievement: Phantom effect of Special purpose and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s
발행기관
한국교육사회학회
저자명
박수억(Park, Sueuk)
간행물 정보
『교육사회학연구』제30권 제1호, 83~110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3.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학업 경쟁이 상대적으로 치열하다고 알려진 특목고나 자사고가 일반고에 비해 재학생들의 성취도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분석을 위해 서울교육종단연구(SELS) 고등학교 패널 1~3차년도 자료를 바탕으로, 다수준 잠재성장모형을 사용하였다. 학교 유형별 기본 모형의 분석 결과에 따르면, 특목고와 자사고 학생들의 입학 초 학업성취 수준은 모든 과목에서 상대적으로 우수했으나, 두 유형의 학교 재학생들 간 수학과 영어 성취도의 차이가 시간에 따라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는 해당 학교에서 상위권과 하위권 학생들 간에 나타나는 학업 격차가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지속적으로 벌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해 일반고에 진학하였다면 상위권일 수 있었겠지만 특목고나 자사고에 진학함에 따라 중하위권에 위치하게 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가 점점 낮아질 수 있음을 추정하였다. 학교 간 차이를 살펴본 전체 모형에 따르면, 여학생들은 국어와 영어 과목에서의 성장률은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수학 과목에서는 초기 성취도 차이가 시간에 따라 뒤바뀌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이는 학업성취도의 성장률에서 나타나는 성차가 개별 과목에 따라 다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사회경제적 지위는 초기 성취도에 영향을 주지만, 성장률에는 별다른 효과를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배경 요인들을 모두 통제한 후, 특목고와 자사고의 성취도 성장률은 일반고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그러나 특목고나 자사고 재학생들 간의 학업 격차가 시간에 따라 증가한다는 기본 모형의 결과를 고려할 때, 특목고나 자사고의 높은 성취도 성장률이 교내 상위권 학생들에 의해서 견인되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특목고나 자사고 내에서 성취도 하위권에 위치한 학생들은 학업 측면에서 동급생들에 의해 동화(assimilation)되기보다는 그들과의 대조(contrast)를 통해 부정적 경험을 겪을 수 있는 셈이다. 연구의 결과는 특목고나 자사고에 다니는 것이 학업 향상에 유리할 것이라는 통념은 어떤 학생들에게는 실제(real)일 수 있으나, 다른 학생들에게는 환상(phantom)일 수 있음을 암시한다.

영문 초록

Using data from the SELS(Seoul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this study presented changes in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over a three-year period from 10th to 12th grades, and explored the influence of type of high school attend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multilevel latent growth model. Results of the basic model for each school type showed that the initial achievement of students in the Special Purpose High School(SPHS) and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APHS) students is higher than those in the General High School(GHS), but the gaps in math and English achievement between the students in the SPHS and APHS increase over time. It suggests that the academic disparity between high- and low-achieved students in both types of school may widen across grades.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inferred that students who are located in the bottom rank as they go to selective schools such as the SPHS and APHS, but could be in the top if they went to the GHS, may be gradually getting worse their achievement level. The whole model, which examines the difference among the types of school, provided that female students were relatively high in the growth rate of Korean and English achievement than male students, but those gaps were reversed in math. It implies that gender gap in the rate of changes may differ according to subjects. Socioeconomic Status affected only the initial achievement but not the growth rates. After controlling for all other variables, the rate of changes in achievement of students from the SPHS and APH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GHS. However, considering the results that the difference between students from the SPHS and APHS increases over time, the academic excellence of the SPHS and APHS are likely to be driven by the high-achieved students. It indicates that the low-achieved students in the same schools could have negative experiences through the contrast rather than the assimilation effect by their colleagues.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an common belief that attending a selective school would be beneficial to academic improvement may be a kind of phantom for the low-achieved students, not real.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수억(Park, Sueuk). (2020).학교 유형과 학업성취도 변화: 특목고와 자사고의 환상 효과(phantom effect). 교육사회학연구, 30 (1), 83-110

MLA

박수억(Park, Sueuk). "학교 유형과 학업성취도 변화: 특목고와 자사고의 환상 효과(phantom effect)." 교육사회학연구, 30.1(2020): 83-11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