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교생의 교사 인식 관련 예측 요인 탐색

이용수 122

영문명
An inquiry for the predictive variables regarding the perception of high school students on teachers
발행기관
한국교원교육학회
저자명
김영식(Kim, Youngsik) 문찬주(Moon, Chanju) 박환보(Park, Hwanbo)
간행물 정보
『한국교원교육연구』제37권 제1호, 465~494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3.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Ⅱ 1차년도(2016년) 자료에 대하여 랜덤 포레스트 기법을 활용하여, 고교생의 담임 교사 및 학교 교사들에 대한 인식을 예측하는 요인을 탐색하였다. 또한 모형의 예측성과를 검토함으로써 도출된 랜덤 포레스트의 추정 모형이 적합한 모형임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와 함께 고교생의 담임 및 학교 교사 인식에 대한 예측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주요 변수들을 활용하여 중다회귀분석 모형과 학교 고정효과 모형, 학교 확률효과 모형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세 가지 모형 중 담임 교사 및 학교 교사에 대한 인식을 예측하는데 보다 효과적인 모형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부모의 양육 태도, 학교 내 진로교육·활동에 대한 만족도, 수업태도 및 자존감 등과 같은 학생 개인의 정의적 특성, 담임 선생님이 학생을 대하는 방식 등이 담임 교사 및 학교 교사들에 대한 고교생의 긍정적인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담임 교사 인식을 예측하는데 있어서는 확률효과모형이, 학교 교사 인식을 예측하는데 있어서는 고정효과모형이 적절함을 통계적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이상과 같은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교사들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제고하기 위한 정책적인 시사점을 제공하였으며, 보다 엄밀한 관련 요인 탐색을 위한 학술적 제언 또한 함께 제공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factors that predict the perception of high school students on homeroom teachers and school teachers by utilizing the random forest technique for the first year of the Korean Education Employment Panel II (2016) and examined whether the estimated model of the random forest was appropriate. In addition, this study tried to identify more effective models among the three models of the multiple regression model, the fixed-effect model, and the random effect model in predicting the perception of the students. The analysis found that the following variables affected the positive perception of students on homeroom teachers and school teachers: parenting attitude, satisfaction with career education and activities in schools,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such as class attitude and self-esteem, and the way homeroom teachers treat their students. It also statistically confirmed that the random effect model was appropriate for predicting the perception of students on homeroom teachers and the fixed effect model was appropriate for predicting the perception of students on school teacher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ovided policy implications for enhancing students’ positive perception on teachers and also provided academic suggestions for a more rigorous exploration of relevant factor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및 이론적 고찰
Ⅲ. 데이터 및 분석방법
Ⅳ. 분석 결과
V. 논의와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영식(Kim, Youngsik),문찬주(Moon, Chanju),박환보(Park, Hwanbo). (2020).고교생의 교사 인식 관련 예측 요인 탐색. 한국교원교육연구, 37 (1), 465-494

MLA

김영식(Kim, Youngsik),문찬주(Moon, Chanju),박환보(Park, Hwanbo). "고교생의 교사 인식 관련 예측 요인 탐색." 한국교원교육연구, 37.1(2020): 465-49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