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원의 교육정책 참여 경험 탐색

이용수 65

영문명
An Inquiry on Participation in Education Policy Experienced by Teachers
발행기관
한국교원교육학회
저자명
허은정(Eun Jung Hur) 김수진(Sujin Kim)
간행물 정보
『한국교원교육연구』제37권 제1호, 135~161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3.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현장 교원이 교육 주체로서 교육정책에 참여한 경험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교육정책사업 중 하나인 『인성교육진흥사업』의 기획과 집행 과정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교원 3인을 대상으로 참여 계기, 참여 영역과 방법, 참여를 위한 조건에 대해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교원들의 교육정책 참여는 교육적 고민, 학교 현장과 괴리된 교육정책에 대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순수한 자발성과 필요에 의해 시작되었다. 이에 따라 교원들은 학교 안의 수업 개선과 학교 밖의 교육정책 기획, 운영 과정에 참여하고 있었다. 참여 방식은 주체와 영향력 두 가지 축을 중심으로 1) 교육활동을 잘하기 위한 교원 개인의 간접적 참여, 2) 전문성을 발휘하는 교원 개인의 직접적 참여, 3) 다양한 채널과 모임 등을 통해 목소리를 내는 교원 연대의 간접적 참여, 4) 연대를 통해 교육정책 기획 및 집행 과정에 직접적으로 참여하는 교원 연대의 직접적 참여의 네 가지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참여를 위한 여유나 시간이 없다는 현실적인 한계를 토로하였으며, 교원들 간의 참여에 대한 온도차, 긍정적인 참여 경험을 지속, 발전시키는 데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이러한 점에서 교육정책 참여를 위한 조건으로 정부의 지원과 교원의 자발적 동기가 조화롭게 작용하는 것이 중요하게 제시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교원의 교육정책 참여를 “교원이 학생들에게 선한 영향력을 주기 위해, 학교 내 교육활동 뿐 아니라 교육정책 전반에 대하여 교원 개인 또는 교원 간 공식적․비공식적 상호작용을 통해 전문적 영향력을 직․간접적으로 발휘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교원의 정책 참여를 위해 공유 및 연대를 통한 나비효과, 학교 안에서의 경험을 통한 시작, 정부의 지원과 교원의 적극성이 조화된 신뢰 기반의 절충적 접근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teachers in educational policy as educational subjects. To this end, in-depth discussion was conducted on the opportunities, participation areas, methods, and conditions for participation of three teachers, principals, and education professionals who have participated in the planning and execution of the Personality Education Promotion Project, one of the educational policy projects. As a result, teachers participation was started by pure spontaneity, and necessity based on educational worries and problem consciousness of educational policy that is different from school field. As a result, teachers were involved in the improvement of instruction in schools and the planning and operation of education policies outside the school. There were four ways of participation: 1) indirect involvement of individual teachers, 2) direct involvement of individual teachers, 3) indirect involvement of teacher communities, and 4) direct involvement of teacher communities. Teachers, however, were experiencing lack of time to participate, differences of opinion among teachers, and difficulties in continuous development. Therefore, it was important to harmonize the support of the government and the voluntary motivation of teachers as a condition for participation in educational policy.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a solidarity for teachers to participate in policy, a start with experiences in school, and a trust-based educational policy approach.

목차

Ⅰ. 문제 제기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허은정(Eun Jung Hur),김수진(Sujin Kim). (2020).교원의 교육정책 참여 경험 탐색. 한국교원교육연구, 37 (1), 135-161

MLA

허은정(Eun Jung Hur),김수진(Sujin Kim). "교원의 교육정책 참여 경험 탐색." 한국교원교육연구, 37.1(2020): 135-16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