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직업계고 교원의 NCS 기반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역량 연구

이용수 81

영문명
A Study on Competencies of Teacher for Organizing and Operating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Based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NCS based curriculum) in Vocational High Schools
발행기관
한국직업교육학회
저자명
안재영(Jae-yeong Ahn) 이찬주(Chan-joo Lee)
간행물 정보
『직업교육연구』제37권 제2호, 101~127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4.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NCS 기반 교육과정을 편성ㆍ운영하는데 교원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구명하고 이 역량들의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여 직업계고에서의 NCS 기반 교육과정 운영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NCS 기반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역량은 4개의 대영역, 11개의 중영역, 35개의 요소로 구명되었다. 요구 및 환경 분석(대영역 1)은 2개의 중영역인 요구 분석, 학습 환경 분석으로, 교육과정 편성(대영역 2)은 4개의 중영역인 교육과정 협의회 조직 및 운영, 교육목표 및 인력양성 유형 설정, NCS 능력단위 및 학습모듈의 분석ㆍ선정, 교과목 편성 및 교육내용 결정으로, 교육과정 운영(대영역 3)은 3개의 중영역인 교수ㆍ학습 준비, 교수ㆍ학습 실행, 교수ㆍ학습 평가로, 교육과정 평가 및 피드백(대영역 4)은 2개의 중영역인 교육과정 평가, 교육과정 피드백으로 구성된다. 둘째, NCS 기반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역량의 상대적 중요도는 교수ㆍ학습 실행(19.6%), 교수ㆍ학습 평가(14.2%), 교육과정 평가(12.5%), 교육과정 피드백(11.2%), 교수ㆍ학습 준비(9.2%), 교과목 편성 및 교육내용 결정(8.6%), NCS 능력단위 및 학습모듈의 분석ㆍ선정(7.5%), 교육목표 및 인력양성유형 설정(6.6%), 학습 환경 분석(5.4%), 요구 분석(3.9%), 교육과정 협의회 조직 및 운영(1.5%) 순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study out competencies of teacher for organizing and operating of NCS based curriculum in vocational high schools, and to analyze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competenci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competencies of teacher for organizing and operating of NCS based curriculum are composed of the following 4 areas, 11 competencies and 35 sub-competencies. ‘Needs and learning environment analysis(area 1)’ is composed of 2 competencies of ‘analyzing needs’, ‘analyzing learning environment’, and their 7 sub-competencies. ‘Curriculum organization(area 2)’ is composed of 4 competencies of ‘organizing and operating curriculum committee’, ‘setting educational goals and workforce type’, ‘analyzing and selecting NCS competency unitsㆍlearning modules’, ‘developing subjects’, and their 10 sub-competencies. ‘Curriculum operation(area 3)’ is composed of 3 competencies of ‘preparing teaching-learning activities’, ‘implementing teaching-learning activities’, ‘evaluating teaching-learning activities’, and their 15 sub-competencies. ‘Curriculum evaluation and feedback(area 4)’ is composed of 2 competencies of ‘evaluating curriculum’, ‘giving feedback on the curriculum’, and their 3 sub-competencies. Secondly,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competencies is as follows; ‘implementing teaching-learning activities’ has the highest relative importance of 19.6%, followed by ‘evaluating teaching-learning activities’(14.2%), ‘evaluating curriculum’(12.5%), ‘giving feedback on the curriculum’(11.2%), ‘preparing teaching-learning activities’(9.2%), ‘developing subjects’(8.6%), ‘analyzing and selecting NCS competency unitsㆍlearning modules’(7.5%), ‘setting educational goals and workforce type’(6.6%), ‘analyzing learning environment’(5.4%), ‘analyzing needs’(3.9%), ‘organizing and operating curriculum committee’(1.5%).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재영(Jae-yeong Ahn),이찬주(Chan-joo Lee). (2018).직업계고 교원의 NCS 기반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역량 연구. 직업교육연구, 37 (2), 101-127

MLA

안재영(Jae-yeong Ahn),이찬주(Chan-joo Lee). "직업계고 교원의 NCS 기반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역량 연구." 직업교육연구, 37.2(2018): 101-12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