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시계열분석을 통한 산업재해율 예측

이용수 2

영문명
The Prediction of Industrial Accident Rate in Korea: A Time Series Analysis
발행기관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저자명
최은숙(Choi, Eunsuk) 전경숙(Jeon, Gyeong-Suk) 이원기(Lee, Won Kee) 김영선(Kim, Young Sun)
간행물 정보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제25권 제1호, 65~74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의약학 > 간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2.28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향후 ‘산재만인율’과 ‘업무상부상사망10만인율’을 예측하고 이러한 예측을 가장 잘 반영하는 사회·경제·노동 지표를 확인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재통계분석시스템의 2001년~2014년 산업재해통계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산업재해의 예측요인인 사회·경제, 노동력 구조, 근로조건, 산업재해 정책관련 주요 지표는 문헌고찰 및 전문가 자문을 통해 선정하였다. 산업재해 발생을 예측하기 위하여 시계열분석을 활용하였으며 산업재해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시간 지수에 따른 시계열모형은 연도변수와 함께 독립변수를 하나씩 추가하여 모형적합도를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산재만인율’과 ‘업무상부상사망10만인율’이 선형적 감소추세를 보이면서 급격히 줄어들었다. 2001년도에 비교하여 2014년도에 이르러 산재만인율은 만명당 77.0명에서 53.3명으로 30.8% 줄어들었으며 2017년도에는 만명당 50∼51명 정도로 감소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업무상부상사망10만인율은 12.3명(2001년)에서 5.8명(2014년)으로 52.8% 급격히 줄어 2017년에 이르면 4.5명 정도로 낮아지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산재만인율 예측’을 위해서는 ‘45-49세 경제활동참가율’이, ‘업무상부상사망 10만인율’은 ‘소규모 사업장 지원사업 예산’이 다른 지수들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우선 고려해야할 산재 예측 지표였다. 결론: 산재만인율 및 업무상부상사망10만인율의 예방 및 감소를 위해 40대 경제활동인구의 고용안정정책과 20-30대 근로자의 업무숙련 지향적 근로조건 및 환경개선이 필요하며 소규모사업장의 근로환경 안전을 위한 지원 확대가 요구된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dict industrial accident rate using time series analysis. Methods: The rates of industrial accident and occupational injury death were analyzed using industrial accident statistics analysis system of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from 2001 to 2014. Time series analysis was done using the most recent data, such as raw materials of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Economic Statistics System of the Bank of Korea, and e-National indicators. The best-fit model with time series analysis to predict occupational injury was developed by identifying predictors when the value of Akaike Information Criteria was the lowest point. Variables into the model were selected through a series of expertises consultations and literature review, which consisted of socioeconomic structure, labor force structure, working conditions, and occupational accidents. Results: Indexes at the meso- and macro-levels predicting well occurrence of occupational accidents and occupational injury death were 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 for ages 45-49 and budget for small scaled workplace support. The rates of industrial accident and occupational injury death are expected to decline. Conclusion: For reducing industrial accident continuously, we call for safe employment policy of economically active middle aged adults and support for improving safety work environment of small sized workplace.

목차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은숙(Choi, Eunsuk),전경숙(Jeon, Gyeong-Suk),이원기(Lee, Won Kee),김영선(Kim, Young Sun). (2016).시계열분석을 통한 산업재해율 예측.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25 (1), 65-74

MLA

최은숙(Choi, Eunsuk),전경숙(Jeon, Gyeong-Suk),이원기(Lee, Won Kee),김영선(Kim, Young Sun). "시계열분석을 통한 산업재해율 예측."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25.1(2016): 65-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