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역 기반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중학교 사회과 수업모듈 개발: 제주 지역을 사례로

이용수 575

영문명
The Development of a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Instructional Module for Place-Base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 The Case of Jeju Island
발행기관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저자명
한상희(Han, Sang-Hee)
간행물 정보
『국제이해교육연구』제14권 제2호, 61~95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1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 기반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중학교 사회과 수업 모듈을 개발하는 데 있다. 주요 연구 내용은 두 가지이다: 첫째, 지역 기반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중학교 사회과 수업모듈을 어떻게 설계할 수 있는가, 둘째 지역 기반 세계시민교육 수업 모듈은 중학교 수업 현장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가이다. 연구 방법으로서 주로 문헌연구와 실행연구를 활용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지역 기반 수업 모듈은 제주지역을 사례로 하였으며, 통합교육과정을 지향하는 중학교 사회과 수업에 초점을 맞추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 기반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수업 모듈을 설계하였다. 수업 모듈 설계는 먼저 지역 기반 세계시민교육 수업 모듈의 원리를 설정하고, 이에 따라 제주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수업 모듈을 구성하였다. 모듈 설계는 3단계로 구성되는데, 1단계는 상호 연계성과 맥락(context)을 고려하여 지역 기반 이슈를 탐색하는 것으로 세계시민성 함양을 위한 적절한 주제를 지역에서 찾는 단계이다. 2단계는 지역 기반 이슈에 담긴 지리적, 역사적, 사회적, 문화적 맥락을 찾는 학습이 이루어지는 단계이다. 3단계는 지역 기반 이슈의 맥락을 확장하여 세계시민성을 발휘하도록 실천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수업 모듈의 원리와 단계를 적용하여 제주지역에 기반 한 수업 모듈 3가지를 제시하였다. 둘째, 제주지역을 기반으로 한 세계시민교육 수업 모듈을 개발하고 실행하였다. 지역 기반 세계시민교육 수업 모듈의 제주지역 사례로서 조선 후기 제주 빈민을 구제한 김만덕의 삶을 통한 보편적 가치에 대한 공감, 산업화 초기 제주 이주민 공동체인 해남촌 역사를 통해 본 차이와 다양성 존중, 제주 4⋅3을 통한 연대의식과 실천을 주제로 수업 모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세계시민교육 관련 영역 중 제주지역에 기반 한 사례만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공간적이고 내용적인 한계를 가지며, 이후 관련 영역 및 다른 지역 사례로 확장하는 후속 연구의 과제를 남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instructional module for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as part of place-base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e main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the methods used in developing an instructional module for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i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second, the method applied in the module for middle school classes. The study was mainly based on reference research and action research. The place-based class module developed for this study is the case of Jeju Island and is focused on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classes as oriented to the integrated curriculu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 developed a class module for place-base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or this module, I created principles for the class module for place-base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compose the class module by focusing on the case of Jeju Island. The design of this module went through 3 stages. The first stage explores regional issues by considering mutual relationships and the context from which suitable themes to foster global citizenship in the region are uncovered. The second stage explores the geological, historical,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of the place-based issues. The third stage expands on the contexts of the regional issues and practice to exercise global citizenship.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principles and developmental stages for the class module, I then compose three Jeju-based modules. Second, I developed and conducted a Jeju-based instructional module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or the themes and Jeju cases of the place-based module, I present sympathy for universal values through the life of Kim Mandeok who gave aid to the poor in the late Joseon era; respect for diversity and difference through the history of Haenamcheon, the Jeju immigrant community during early industrialization; and solidarity and practice through the Jeju 4․3 Uprising and Massacre. These three class modules can be utilized independently or stage by stage. I concede that this study has spatial and content limitations due to the fact that the Jeju cases are only presented among domains relating to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which means that follow-up research is required to expand into relating domains and other regions. In addition, this study has other limits in that it hasn’t been verified quantitatively by presenting the effect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only through the stories of students who attended this class and the follow-up educational activities through this module.

목차

Ⅰ. 서 론
Ⅱ. 수업 모듈 개발 원리 및 절차
Ⅲ. 지역 기반 세계시민교육 수업 모듈의 구성
Ⅳ. 지역 기반 세계시민교육 수업 모듈 적용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상희(Han, Sang-Hee). (2019).지역 기반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중학교 사회과 수업모듈 개발: 제주 지역을 사례로. 국제이해교육연구, 14 (2), 61-95

MLA

한상희(Han, Sang-Hee). "지역 기반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중학교 사회과 수업모듈 개발: 제주 지역을 사례로." 국제이해교육연구, 14.2(2019): 61-9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