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도지체장애인 근로자의 장애수용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 자기효능감을 통한 개인-직무 적합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이용수 400

영문명
The Relationship between Acceptance of Disability and Job Satisfaction of Wage Earners with Acquired Physical Disabilities : Testing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Person-Job Fit through Self-Efficacy
발행기관
한국장애인복지학회
저자명
이선우(Lee, Seon-Woo) 박소리(Park, So-Ri) 이지민(Lee, Ji-Min)
간행물 정보
『한국장애인복지학』제46호, 29~58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임금 근로 중인 중도지체장애인 근로자의 장애수용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을 통한 개인-직무 적합성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분석대상은 장애인고용패널조사 2차 웨이브 1차 조사(2016년)를 사용하여 만 19세 이상이며, 현재 임금 근로 중인 중도지체장애인 근로자 818명이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도지체장애인 근로자의 장애수용과 자기효능감은 직무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에서 개인-직무 적합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기술 적합성과 교육수준 적합성의 경우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직접적인 정적 영향력은 있었으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적성 적합성은 직무만족도에 정적 영향력을 미침과 동시에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결과, 자기효능감을 통한 적성 적합성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검증되었으며, 조절된 매개효과는 현 업무가 적성에 부합된다고 응답한 경우에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도지체장애인 근로자의 직무만족을 높이는 방안으로 장애수용, 자기효능감의 향상을 위한 산업복지적 개입, 근로현장에서 중도지체장애인 근로자의 개인-직무 적합성에 대한 고려 및 적성에 맞는 일자리 정책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person-job fit through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ability acceptance and job satisfaction of wage earners with acquired physical disabilities. The subjects of this analysis comprised 818 wage earners(aged 19 or older) with acquired physical disabilities from the first-year data(2016) of the second wave of the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PSED).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disability acceptance and self-efficacy of workers with acquired physical disabilities displayed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person-job f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showed that although skill fit and education fit had a direct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ey showed no mediating effect. By contrast, aptitude fit had both a positive and a mediating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ir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aptitude fit through self-efficacy, which was verifie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when the subjects responded that their current job was fit for their aptitude.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industrial welfare interventions that improve disability acceptance and self-efficacy of workers with acquired physical disabilities are necessary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Further, labor policies should consider their person-job fit in the workplace and provide jobs fit for their aptitude.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고찰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선우(Lee, Seon-Woo),박소리(Park, So-Ri),이지민(Lee, Ji-Min). (2019).중도지체장애인 근로자의 장애수용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 자기효능감을 통한 개인-직무 적합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한국장애인복지학, (46), 29-58

MLA

이선우(Lee, Seon-Woo),박소리(Park, So-Ri),이지민(Lee, Ji-Min). "중도지체장애인 근로자의 장애수용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 자기효능감을 통한 개인-직무 적합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한국장애인복지학, .46(2019): 29-5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