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등학생의 협력적 소비 의향 유형과 예측 요인

이용수 32

영문명
Analysis of Collaborative Consumption Intentions and their Predictive Factors in High School Students
발행기관
한국가정과교육학회
저자명
정주원(Jung, Joowon)
간행물 정보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제30권 제2호, 103~116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6.30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협력적 소비 의향을 제공행동과 이용행동을 기준으로 유형 분류한 후 각 군집 유형별로 소비자교육경험과 기대 혜택의 예측 요인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취합된 고등학생 418명의 자료를 사용하여 기술통계, 군집분석,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협력적 소비 의향은 4가지 군집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제공행동과 이용행동이 모두 높은 적극적 집단, 제공적극집단, 이용적극집단 그리고 제공과 이용행동이 모두 낮은 소극적 집단으로 유형화되었다. 둘째, 적극적 집단에 속할 가능성을 높여주는 요인은 대중매체, 사회적 편익, 즐거움, 커뮤니티효과, 평판으로 나타났으며, 제공적극집단에 속할 가능성을 높여주는 요인은 가정소비자교육과 대중매체, 즐거움과 평판으로 나타났다. 이용적극집단에 속할 가능성을 높여주는 요인으로는 즐거움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협력적 소비의 활성화와 올바른 정착을 위해 소비자교육의 체계적인 접근이 요구되어진다. 아울러 협력적 소비의 균형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학교소비자교육에 대한 체계적 확립이 필요하며, 실질적인 혜택을 다양하게 경험할 수 있는 환경적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categorize collaborative consumption intention in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providing and using collaborative consumption behaviors, to compare and analyze the factors that predict these. Data gathered from 418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an online survey were used to conduct a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luster analysis,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Firstly, collaborative consumer intentions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including a proactive group with high providing behaviors and using behaviors, an active providing group, an active using group, and a passive group with low providing and using behaviors. Secondly, mass media, social benefits, enjoyment, community effect, and reputation were revealed as factors that increased the potential for inclusion in the active groups, and home education, mass media, enjoyment, and reputation were factors that increased the potential for inclusion in the active providing group. Enjoyment was revealed as the factor that increased the potential for inclusion in the active using group.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how that the active utilization of consumer education and a systematic approach are required to revitalize collaborative consumption and proper settlement. Furthermore, a systematic establishment of school consumer education is needed for the balanced development of collaborative consumption. Also, an environmental system in which actual expected benefits can be experienced and realized in a diverse manner should be created to encourage consumers collaborate more activel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주원(Jung, Joowon). (2018).고등학생의 협력적 소비 의향 유형과 예측 요인.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30 (2), 103-116

MLA

정주원(Jung, Joowon). "고등학생의 협력적 소비 의향 유형과 예측 요인."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30.2(2018): 103-11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