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가정과교사 문화의 특징과 발전 방안

이용수 42

영문명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plan of Home Economics teachers
발행기관
한국가정과교육학회
저자명
김승희(Kim, Seung-Hee) 채정현(Chae, Jung-Hyun)
간행물 정보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제30권 제2호, 77~102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6.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과교사 문화의 특징과 가정과교육 발전의 저해 요소를 밝힘으로써 가정과교사 문화의 발전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집중면접의 주제 분석법을 실행하였으며, 각 지역 가정교과연구회 또는 한국가정과교육학회 소속 석사과정 이상인 가정과교사 14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응답 자료 분석을 위해 주제 분석법을 실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과교사들은 가정과교육의 철학을 정립한 후 가정교과가 청소년 개인과 가정, 그리고 사회를 이롭게 하는 실천비판교과라는 신념을 확고히 가지고 가정과수업을 통해서 청소년과 그들의 가정, 더 나아가 사회에 유익을 주는 교육을 실천하고 있었다. 둘째, 가정과교사들은 대학원에 진학하거나 가정교과연구회에 가입하여 수업 방법, 평가 방법, 업무 능력을 향상시키고, 수업을 공개하는 등 지속해서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노력하는 문화를 형성하고 있었다. 셋째, 가정과교사들은 가정과교육 패러다임을 실천비판 패러다임으로 전환하여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을 실행해야 한다는 문화를 자리매김하였다. 또한, 그들은 세 행동체계(기술적 행동, 의사소통적 행동, 해방적 행동)를 순환적으로 적용하여 삶의 질과 가치를 향상시켜야 한다고 보았다. 넷째, 가정과교육의 발전을 저해하는 요소에는 교육제도와 사회적 인식이 있었다. 하지만 가정과교사들의 노력으로 가정과교육은 학생과 사회적 요구를 반영한 교육, 학생의 적성을 찾아주며 가정교과의 목표를 잘 살린 교육으로 자리 잡고 있었고, 이를 통해 가정과교사들은 학생들이 가정교과가 개인과 가정의 행복을 위해 꼭 필요한 교과라는 인식의 전환을 가져올 수 있다고 믿었다. 가정과교사문화의 발전방안으로 가정과교사들은 각 지역의 가정교과연구회에서는 더 많은 가정과교사들이 연구회에 참여하고 활동함으로써 발전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야 한다고 하였다. 또한 지역의 가정교과연구회끼리 협력적 네트워크를 활성화하고 이를 이끌수 있는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고 했다. 한국가정과교육학회는 각 지역의 교과연구회의 중심점 역할이 되어서 다가올 교육 변화에 더욱 신속하고 조직적으로 움직여 적극적으로 대처함으로써 가정과교사들의 힘이 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참여자는 가정과교육의 변화를 위한 기초적 틀을 마련하기 위해 실천 비판적 가정과교사 양성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를 위해 가정과교사 양성과정에서 학생들이 더욱 깊이 있는 가정교과교육철학을 수강함으로써 가정교육학의 본질을 이해하고 정체성을 확립하여 유능하고 성숙한 가정과교사로서의 자질을 갖출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tribute to Home Economics(HE) teachersʼ culture by figuring out acknowledging characteristics of cultures of HE teachers and impeding factors on development of HE education. For this intensive interview were used. Intensive interviews were made with 14 HE teachers who completed coursework for masterʼs or doctorʼs program of graduate school and belong to HE Teachersʼ Study Associations of each region or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and analyzed by subject analysis metho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HE teachers establish the philosophy of HE education, and practice education to provide profit to adolescents, their families, as well as society through HE class with their belief that HE is a practical and critical subject to benefit individual adolescents, families, and society. Second, HE teachers form culture to make an effort to continue to improve their expertises by attending graduate school, joining HE teachersʼ associations to enhance teaching methods, evaluation methods, and work ability or disclosing their own class. Third, HE teachers settle culture to conduct classes focusing on practical issues by converting the paradigm of HE education to that of practical critique. They also see that the system of three actions(technical action, communicative action, and emancipative action) should be applied in circulating ways to improve quality and value of life. Forth, for impeding factors of development of HE education, there are educational system and social recognition. However, with HE teachersʼ efforts, HE education settles well, as it reflects demands from students and society, finds studentsʼ talents, and actualizes its own goals. HE teachers believe that student will recognize that HE education is necessary for happiness of individuals and families. As a way to develop Home Economics teacher culture, Home Economics teachers should have the opportunity to develop more Home Economics teachers by participating in and working in research sessions in each area. It also called for a control tower to enable and lead collaborative networks between local Home Economics curriculum research committees. The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should play a central role in the academic research community of each region and be able to help Home Economics teachers by moving more quickly and systematically to cope with the upcoming changes in education. Finally, participants said that in order to prepare a basic framework for the change in Home Economics education, practical critical Home Economics teacher training are needed. To this end, students can understand the essence of Home Economics education and establish their identity by taking a deeper Home Economics education curriculum philosophy for Home Economics teacher training.

목차

Ⅰ. 서론
Ⅱ. 문헌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승희(Kim, Seung-Hee),채정현(Chae, Jung-Hyun). (2018).가정과교사 문화의 특징과 발전 방안.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30 (2), 77-102

MLA

김승희(Kim, Seung-Hee),채정현(Chae, Jung-Hyun). "가정과교사 문화의 특징과 발전 방안."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30.2(2018): 77-10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