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발달단계별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이용수 467

영문명
Effectiveness of Death Education Program by Developmental Stage: A Meta-Analysis
발행기관
한국교육학회
저자명
이나영(Lee Na Young) 유지영(Lyu Jiyoung)
간행물 정보
『교육학연구』제57권 제3호, 119~145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9.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의 국내 연구물들을 발달단계별로 구분하여 메타분석으로 효과크기를 구하는데 있다. 분석대상 자료는 2004년부터 2016년까지 국내학술지와 학위논문에 게재된 선행연구들 가운데 죽음준비교육을 실시하여 사전·사후로 효과성을 제시한 연구물을 채택하여발달단계별로 분류 후 효과크기를 측정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를 발달단계별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성인기, 아동기의 경우, 보호변인, 위험변인에 모두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기와 노년기의 경우, 보호변인에는 큰 효과가, 위험변인에는 중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발달단계에 따라 죽음준비교육의 종속변인별효과크기는 아동기는 죽음인식, 죽음불안에 큰 효과, 청소년기는 죽음인식에 큰 효과, 생의 의미, 임종간호태도에 중간 효과, 성인기는 죽음인식, 생의 의미, 죽음불안에 큰 효과, 영적안녕에 중간 효과, 노년기에 삶의 만족도, 자아통합감에 큰 효과, 죽음인식과 죽음불안에 중간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물들의 결과를 종합해 보았을 때, 보호변인의 효과크기를 통해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의 긍정적 영향력이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모든 발달단계에서 종속변인으로 사용된죽음인식이 아동기, 청소년기, 성인기에는 큰 효과를 보인 것은 실존적인 존재임에도 죽음에 대한 인식이 높지 않다가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죽음에 대한 인식이 높아진 것으로 볼 수 있다. 노년기의 경우에는 중간 효과를 보고하였는데, 노년기는 죽음을 실존적으로 자신에게 당면한 문제로 인지하고 있음을 반영하는 결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의 개별적효과를 제시한 연구자료를 취합하고 발달단계로 분류하여 효과크기를 종합적으로 살펴본 것에 의의가 있다. 발달단계에 따른 죽음이해를 바탕으로 대상의 특성을 고려한 양질의 프로그램이 가정과 사회, 교육현장에서 확대되어 실시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effectiveness of death education programs at each developmental stage through meta-analysis. 30 articles which met the selection criteria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eath education programs had large effects on both protective and risk factors in adulthood and childhood, while it had large effects on protective factors and moderate effects on risk factors among adolescents and older adults. Second, large effects on death awareness and death anxiety in childhood, large effects on death recognition and moderate effects on life meaning in adolescence, large effects on death awareness, meaning of life, death anxiety, and moderate effects on spiritual wellbeing in adulthood, and large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self-integration, and moderate effects on death recognition and death anxiety in older adulthoods were found. These results suggest positive impacts of death education programs. Death awareness, which is used as a dependent variable in all stages, was largely affected in childhood, adolescence, and adulthood. The moderate effects in older adulthood can be understood in terms of older adults perceiving death as an extant problem.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death according to developmental stages, we expect high-quality program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will be expanded in the family, community, and education field.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나영(Lee Na Young),유지영(Lyu Jiyoung). (2019).발달단계별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교육학연구, 57 (3), 119-145

MLA

이나영(Lee Na Young),유지영(Lyu Jiyoung). "발달단계별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교육학연구, 57.3(2019): 119-14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