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직업재활시설 유형개편에 따른 운영개선 방안 연구

이용수 50

영문명
A Study on the Improvement Management Based on Restructuring of Type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발행기관
한국직업재활학회
저자명
이혜경(Lee Hye-Kyeong)
간행물 정보
『직업재활연구』제22권 제2호, 117~138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8.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직업재활시설은 1986년 자립작업장 설치계획을 시작으로 제도적으로 운영, 관리되기 시작하여 2000년 장애인복지법 전부개정 때, 근로작업시설, 보호작업시설, 작업활동시설, 직업훈련시설, 생산품판매시설의 5개 유형으로 세분화되며 본격적인 발전을 이루게 되었다. 그러나 중증장애인의 고용이 확대되지 못하고, 직업재활시설 유형에 따른 기능의 모호함, 시설평가를 통해 지적되었던 여러 가지 운영상의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는 등 이러한 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2007‘년 장애인복지법 개정으로 직업재활시설이 2개 유형으로 재편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장애인개발원에서 2011년 실시한 직업재활시설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유형개편을 한 직업재활시설과 그렇지 않은 시설간의 운영현황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직업재활시설의 운영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유형개편을 한 직업재활시설의 종사자 수는 여전히 법적 배치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함으로써 인력부족의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유형개편 이전보다 근로장애인의 임금은 2배 이상 확대되었고, 직업적응훈련의 실적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직업재활시설 유형개편에 따른 지침마련, 운영기준에 맞는 행·재정적 지원, 제한된 자원 내에서 효율적으로 직업재활서비스 제공을 위해 지역 내 직업재활시설 및 유사기관들과의 연계협력이 이루어져야 하고, 이를 위한 통합적인 전달체계로의 개선이 필요함을 제언으로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were systemized by establishment operating plans of sheltered workshop in 1986 and separated 5 types in 2000. However there were problems function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and not expanded of employment of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Therefore they had to be restructured of type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in 20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with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with restructuring and facilities without restructuring. Also it would be suggested improvement management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According to the results, i would like to suggest strategies to improve management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irst, there are required specific guidelines for management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Second, it is demanded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support such as legal arrangement of staff and support of equipment or facilities through the guideline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Third, it would be founded on system of services linkage, cooperation, and collaboration. Finally it has to be improved services delivery system for efficient and effective provision of services to offer effectively for the severely disabled.

목차

Ⅰ. 서 론
Ⅱ. 직업재활시설의 개념 및 운영기준
Ⅲ. 직업재활시설 운영 실태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혜경(Lee Hye-Kyeong). (2012).직업재활시설 유형개편에 따른 운영개선 방안 연구. 직업재활연구, 22 (2), 117-138

MLA

이혜경(Lee Hye-Kyeong). "직업재활시설 유형개편에 따른 운영개선 방안 연구." 직업재활연구, 22.2(2012): 117-1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