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용변인에 따른 지적장애학생의 기초직업능력 구성요인의 상대적 중요도 평가

이용수 46

영문명
A Study on Relative Importance of Key Competence Factors for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by Employment Variables
발행기관
한국직업재활학회
저자명
이윤우(Lee Yun-Woo) 한경근(Han Koung-Gun)
간행물 정보
『직업재활연구』제24권 제1호, 109~136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4.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지적장애학생의 고용변인에 따른 기초직업능력 구성요인들의 상대적 중요도를 통하여 지적장애학생의 직업과 교육과정의 적용 방안을 모색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실제 취업 지적장애인 306명을 대상으로 기초직업능력을 평가하고 판별분석을 통하여 고용변인(직종별ㆍ고용형태별)에 따른 지적장애학생의 기초직업능력 구성요인과 세부항목의 상대적 중요도를 살펴보았다. 먼저, 직종별ㆍ고용형태별에 따른 기초직업능력 구성요인과 하위내용의 직종별 기초직업능력 구성요인의 상대적 중요도 조사에서는 제조업종과 서비스업종을 판별하는 데 있어 ‘개념적 기술’, ‘신체능력’, ‘사회성능력’ 순으로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고용형태별 기초직업능력 구성요인의 상대적 중요도 조사에서는 제조업종의 경우 지원고용과 보호고용을 판별하는데 있어서 ‘신체능력’, ‘개념적 기술’ 순으로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서비스 업종의 경우는 지원고용과 보호고용을 판별하는데 있어 모든 기초직업능력 구성요인들에서 평균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기초직업능력을 반영한 학교 단위의 직업과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seek implementation of vocational educational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rough the relative importance of key competence s factors of employment variables of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achieve the purpose, this research evaluated key competences for 306 actual worker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measured relative importance of detailed items by employment variables (occupational typesㆍemployment types) through the discriminant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as the result of investigating relative importance of key competence factors by occupational types, there were high influences in order of conceptual technology , physical ability and sociability ability for judging manufacture occupational type and service occupational type. There were low discrimination of ‘emotional ability’, ‘daily life performance’ and ‘vocational technology’. And, in results of relative importance by detailed items, preciseness item of ‘physical ability’ factor, health maintenance item of daily life performance factor and all factors of sociability ability factor except for time management item play an important actions judging manufacture occupational type and service occupational type. However, emotional ability factor and ‘occupational technology factor didn t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of average difference in case of the occupational technology factor. As the result of investigating relative importance of key competence factors by employment types, there was high influence in physical ability and conceptual technology for judging supportive employment and protective employment in case of manufacture occupational type. And, there was low influence in ‘daily life performance’, ‘emotional ability’, ‘sociability ability’ and ‘occupational ability’. And, in case of service occupational type, there was not lots of average differences in all factors of key competences for judging supportive employment and protective employment. In other words, it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to divide worker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ervice occupational type into supportive employment and protective employment with average score of key competence factor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윤우(Lee Yun-Woo),한경근(Han Koung-Gun). (2014).고용변인에 따른 지적장애학생의 기초직업능력 구성요인의 상대적 중요도 평가. 직업재활연구, 24 (1), 109-136

MLA

이윤우(Lee Yun-Woo),한경근(Han Koung-Gun). "고용변인에 따른 지적장애학생의 기초직업능력 구성요인의 상대적 중요도 평가." 직업재활연구, 24.1(2014): 109-1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