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기혼노동자의 여가생활에서 주관적 시간웰빙 유형 연구

이용수 113

영문명
A Study on the Types of Subjective Temporal Well-Being in Leisure Life for the Married Workers
발행기관
한국여가문화학회
저자명
서리나(Seo Leena) 오치옥(Oh Chiok)
간행물 정보
『여가학연구』제17권 제3호, 83~107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8.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기혼노동자의 여가참여를 통한 일·삶 균형을 위해 조직의 여가지원 가능성을 제안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먼저, 기혼노동자의 여가생활에서 주관적 시간웰빙을 충족하는 두 가지 조건의 관계를 유형화하고, 각 유형별 주요 영향요인을 밝혔다. 그런 다음, 일-여가-가정 간 균형 관계를 규명하였다. 연구대상은 광주광역시 가족친화조직 30~40대 기혼노동자 320명이며, 설문조사 자료는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보면 첫째, 여가생활에서 기혼노동자의 주관적 시간웰빙은 일로 인한 여가시간압박(WL시간압박)과 여가만족 수준에 따라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기혼노동자의 여가생활에서 주관적 시간웰빙을 지각하는 유형4를 기준으로 할 때 유형1의 주요 영향요인은 주당 노동시간이고, 유형2와 유형3은 주말 희망-실제 여가시간 차이와 여가지속성으로 밝혀졌다. 셋째, 네 유형은 일-여가 촉진과 일-여가 균형만족과 정적 관련성을 가졌다. 결론적으로, 여가생활에서 기혼노동자의 주관적 시간웰빙 인식은 낮은 WL여가시간압박 조건과 높은 여가만족 조건의 충족과 관련이 깊다. 따라서 기혼노동자의 여가생활 지원은 주관적 시간웰빙의 두 조건을 충족할 수 있도록 개인차원을 넘어 사회적 관심과 조직단위의 적극적인 지원 정책이 요청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leisure support for the married workers working for family-friendly firms. For this purpose, the types of subjective temporal well-being in leisure life were developed and the effect of predictor variables of each type was investigated. Also, a balance relationship between work and leisure and family using the types was teste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20 married workers in their 30s~40s working for family-friendly firm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Subjective temporal well-being in leisure life consisted of four types according to work-to-leisure time pressure and leisure satisfaction levels. The influencing factors of the types were working week, difference between preferred and actual weekend leisure time, and leisure continuity. Also, subjective temporal well-being in leisure life groups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work-leisure facilitation and satisfaction with work-family balance. In conclusion, workers are aware of their self-perceived temporal well-being the conditions under which they work in lower time pressure and feel higher leisure satisfaction in leisure activities. That means the leisure support policy for workers should support by organizational unit beyond individual and family level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리나(Seo Leena),오치옥(Oh Chiok). (2019).기혼노동자의 여가생활에서 주관적 시간웰빙 유형 연구. 여가학연구, 17 (3), 83-107

MLA

서리나(Seo Leena),오치옥(Oh Chiok). "기혼노동자의 여가생활에서 주관적 시간웰빙 유형 연구." 여가학연구, 17.3(2019): 83-10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