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적경험에 대한 심리학적 분석과 예술교육

이용수 120

영문명
Psychological Analysis on Aesthetic Experiences and Art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문화교육학회
저자명
이모영(Mo-Young Lee)
간행물 정보
『문화예술교육연구』제6권 제4호, 1~24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12.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예술이 마음의 작용과 관련하여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 살펴보고, 이를 근거로 예술교육의 의미와 중요성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실험미학이론, 지각 현상학, 시각적 사고 그리고 체화된 마음이론을 중심으로 미적경험에 대한 심리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미적경험은 직접경험을 통해 지각적으로 사고하는 것으로, 사물의 본질을 탐구하고 사물의 이면에 가려져 있는 의미의 세계를 발견하고 구성하는 인지의 한 방식으로 이해된다. 마음의 이와 같은 인지적 측면들은 과학적 사고의 패러다임의 영향으로 학문의 영역에서는 물론 심리학의 영역에서도 크게 주목 받지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각 현상학과 시각적 사고와 같은 지각이론에 의해 인지적 기능과 관련한 예술의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강조되어 왔고, 최근에는 인지과학 분야에서 새롭게 떠오르고 있는 체화된 마음이론과 같은 대안이론들에서 지각적으로 사고하는 인지의 한 방식이 새롭게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미적경험과 예술의 인지적 기능에 대한 논의는 예술교육의 중요성을 강화하고, 예술교육이 미적 형태를 구현하는 기술과 기능을 가르치는 교육으로부터 벗어나서, 삶을 이해하고 구성하는 능력으로서의 미적경험을 중시하는 교육으로 발전하도록 하는데 중요한 이론적 기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aimed to study what kind of meaning art has in relation with cognitive functions to draw the meaning and importance of art education in the reality governed by scientific thinking. For this purpose we carried out a psychological analysis on aesthetic experiences centered on experimental aesthetics theory, Phenomenology of perception, visual thinking and embodied mind theory. Aesthetic experiences is understood as one way of cognition to inquire the nature of the things and discover and constitute the world of meaning covered in the back of the things, that is, as one method of cognition thinking perceptually through experiences. This cognitive aspect of the mind understood as aesthetical experiences under the influences of paradigm scientific thinking didn t draw any high attention in psychological area as well as in the area of learning. Nevertheless, the importance of art has been continuously emphasized with cognitive functions by the perception theory like Phenomenology of perception, visual thinking, and recently some presents the possibility to bring about a new concern in the method of cognition thinking perceptually by direct experiences by approaching in the dynamic relation of mind-body-environment the matter of cognition in the embodied mind theory newly appearing in the field of cognitive science. The argument over cognitive functions of aesthetic experiences and art is expected to reinforce art education, and provide an important theoretical basis so that art education may escape from the education teaching the technology and functions to embody aesthetic forms into the education to lay emphasis on aesthetic experiences as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compose life.

목차

Ⅰ. 서론
Ⅱ. 미적경험에 대한 심리학적 분석
Ⅲ. 미적경험과 예술교육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모영(Mo-Young Lee). (2011).미적경험에 대한 심리학적 분석과 예술교육. 문화예술교육연구, 6 (4), 1-24

MLA

이모영(Mo-Young Lee). "미적경험에 대한 심리학적 분석과 예술교육." 문화예술교육연구, 6.4(2011): 1-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