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공식기억 창출과 전쟁교육 장치로서의 전쟁기념관 - 전쟁기념관의 전시사진을 중심으로 -

이용수 242

영문명
The Creation of Official Memories and War Memorial Museum as an Educational Device - Focusing on Wartime Photographs in War Memorial Museum -
발행기관
한국문화교육학회
저자명
김상미(Sang-Mi Kim)
간행물 정보
『문화예술교육연구』제7권 제3호, 45~70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9.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전쟁기념관의 전시사진이 표상하는 한국전쟁의 공식기억이 창출되는 구조를 검토하고, 공식기억을 전승하는 교육적 장치로 기능하는 전쟁기념관의 문화 정치적 의미를 분석하는 것에 있다. 전쟁기념관에서 한국전쟁에 관한 공식기억이 창출되는 구조가, 전시 사진의 자의적 ‘선택’에 의하여 이루어진 점이라는 사실과, 이 과정에서 개개인의 ‘자전적 기억’이 배제되고 공식적으로는 망각되어 버리는 지점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전쟁기념관은 사진이라는 매체가 지닌 미디어적 특성과 ‘전시’라는 재생산 양상을 모두 살필 수 있는 공간이며 특히 상설전시관인 6.25전쟁실의 경우 기념관의 건립목적 하에 공식기억을 창출하는 사진과 그에 관련한 디오라마를 ‘선택’하거나 ‘배제’하였다. 전쟁기념관의 사진은 언론매체에서 파편적으로 제시된 이미지보다 연속적이며 집약적으로 제시하여 언론매체에 수록된 사진에 비해 교육적 효과가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전쟁기념관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의 목표가 ‘반전’이나 ‘평화’ 혹은 ‘인류애’라는 보편적인 가치를 강조하는 것이 아니라, ‘안보’라고 하는 변형된 형태의 전쟁의 논리를 합리화 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전쟁기념관은 점차로 다양한 교육방식을 동원하여 국가의 공식기억을 전승하고 있고 그 내용의 중심은 어디까지나 ‘국가안보’에 맞춰져 있었던 것이다. 이것은 전쟁 자체의 비극성을 강조하며 전쟁에 대한 비판적 사상이나 반전(反戰)에 관한 내용과는 상반된 것이라 볼 수 있다. 현 시점에서 요구되는 것은 한국전쟁에 대한 단일한 기억이 아니라, 복수의 기억, 복수의 이미지를 표상하는 과정에서 전쟁의 비극과 평화에 대한 가치의 인식이라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전쟁기념관을 ‘대상’으로 삼아 작품 활동을 진행하고 있는 일군의 전후 사진가들의 작업이 새롭게 부각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structure where official memories of the Korean War are created by exhibiting wartime photographs in a war memorial museum, and analyzes war memorial museum’s cultural-political meaning that functions as an educational device for the transmission of official memories. While the official memories of the Korean War are arbitrarily ‘selected,’ individuals’ ‘autobiographical memories’ are excluded and some part of memories officially disappear into oblivion. The wartime photographs in the war memorial museum have complex aspects of photograph as medium. It is medium for recording but at the same time artistic works. The war memorial museum is the place where both photographs’ characteristic as media and reproduction of ‘wartime’ can be examined. Particularly, in the case of 6.25 permanent exhibition, photographs, which can produce official memories and its diorama, were ‘selected’ or ‘excluded’ based on the museum’s purpose. The photographs in the war memorial museum play a more significant roll than the photographs that are inscribed in the press. While the former provides images in a consecutive and intensive way, the latter provides them as fragments. Education that is provided by the war memorial museum does not emphasize universal values such as ‘anti war,’ ‘peace,’ or ‘humanity.’ Instead, it focuses on rationalizing the transformed logic of war- ‘security.’ In other words, the war memorial museum places priority to ‘national security’ by using various educational methods and passing down national official memories; this is opposite to the critical ideas on war. What needs to be brought an attention is the awareness of the tragedy of war and value of peace, which is able to only by representing multitude memories and images rather than homogeneous memories of the Korean War. In this sense, a group of photographers who target the war memorial museum itself as an ‘object’ should be newly magnified.

목차

Ⅰ. 머리말
Ⅱ. 전쟁기억의 정치적 의미와 전쟁기념관
Ⅲ. 선택과 배제 – 공식기억 창출의 구조
Ⅳ. 전쟁기념관의 교육적 기능 -공식기억의 재생산
Ⅴ. 맺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상미(Sang-Mi Kim). (2012).공식기억 창출과 전쟁교육 장치로서의 전쟁기념관 - 전쟁기념관의 전시사진을 중심으로 -. 문화예술교육연구, 7 (3), 45-70

MLA

김상미(Sang-Mi Kim). "공식기억 창출과 전쟁교육 장치로서의 전쟁기념관 - 전쟁기념관의 전시사진을 중심으로 -." 문화예술교육연구, 7.3(2012): 45-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