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술치료에서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가능한 자기’의 적용

이용수 693

영문명
Application of Possible Selves Using Digital Media in Art Therapy
발행기관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저자명
박소정(Park Sojung)
간행물 정보
『예술심리치료연구』제15권 제2호, 153~178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6.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가능한 자기’(possible selves)는 바라는 모습의 희망하는 자기와 회피하고 싶은 모습의 두려운 자기 등 자신에 대한 다면적 투사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인지와 동기 부여 사이 를 잇는 개념을 제공한다. ‘가능한 자기’ 이론은 변화 동기와 연결된 다양한 학문 및 연구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으며 심리학 외에도 행동의 변화가 요구되는 영역에 적용되고 있다. 가능한 자기 이론은 미술치료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어왔는데 주로 전통 매체를 이 용한 가상의 주제적인 그리기의 형태로 활용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능한 자기와 미 술치료라는 두 이론적 틀의 접목에 대한 고찰과 치료적 측면에 대한 점검은 제한되어왔다. 최근 정신의학 분야에서 개발된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을 활용한 심리치료 프로그램 역시 가능한 자기 이론과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이는 미술치료에서 디지털 미디어와 가능한 자 기의 다양한 접목 가능성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질적사례연구를 통해 알코올 중독 증상이 있는 개인이 미술치료에서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하여 가능한 자기를 시각화한 경 험과 그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그 결과, 연구 참여자는 자신의 미래를 명료히 인식하고, 추상적 환상을 개인적 소망으로 변환하고, 가상공간에서 가능한 자기를 체화함으로 인해 주체적 존재로 사는 삶의 의미를 찾을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미술치료에서 디지털 미디 어를 활용한 가능한 자기의 적용에 대한 치료적 의의를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Possible selves represent one’s ideas of hopes, fears, and goals for the future, and provide a conceptual link between cognition and motivation. The theory of possible selves is drawing attention in various fields in academia and research where behavioral changes are necessary and required. The concept of possible selves has also been utilized in art therapy, often through the use of hypothetical themed directives using traditional drawing materials. However, studies on the direct relations between the two theoretical frameworks have been limited. Recently, possible selves have been linked to the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programs developed in psychiatry, which suggest the possibility of various applications of possible selves using digital media in art therapy. This qualitative case study was to reveal the experiences of an individual with a tendency to be addicted to alcohol, and who participated in art therapy visualizing possible selves through the use of digital medi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search participant was able to clarify his perception of the future, transformed abstract fantasy into personal hopes, embodied possible selves in a virtual reality, and found the meaning of life as a subjective being. This confirmed the therapeutic significance of the application of possible selves through digital media in art therapy.

목차

Ⅰ. 서론
II. 문헌고찰
III. 연구방법
IV.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소정(Park Sojung). (2019).미술치료에서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가능한 자기’의 적용. 예술심리치료연구, 15 (2), 153-178

MLA

박소정(Park Sojung). "미술치료에서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가능한 자기’의 적용." 예술심리치료연구, 15.2(2019): 153-17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