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근대 초기 유럽에 번역된 한국 설화에 표현된 민족 이미지 연구 -한흥수의 『한국의 열두 달 이야기』를 중심으로-

이용수 112

영문명
A Study on the Ethnic Image of translated Korean Folk Tales in Early Modern Europe -focus on Korea’s Twelvemonth Folk tale
발행기관
한국구비문학회
저자명
조현설(Cho Hyun-Soul)
간행물 정보
『구비문학연구』제52집, 139~171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3.31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947년 오스트리아 빈에서 󰡔한국의 열두 달 이야기(Koreanische Monatsgeschichten)󰡕가 출간된다. 한흥수는 독일어권에서 교수직을 수행할 수 있는 안정적 지위를 포기하고 북한으로 돌아가기 직전 이 책을 내놓았다. 서문에 따르면 그는 한국에 대해 더 알고 싶어 하는 유럽의 친구들을 위해 이 책을 썼다고 한다. 그가 알리고자 했던 바는 한국인들이 평화를 사랑하는 민족, 효와 의리를 중시하는 민족, 고향을 사랑하고 약자를 도와주고 모든 사람을 공평하게 대하려는 마음을 지닌 민족, 단일 언어를 쓰는 단일 민족이라는 점이었다. 한흥수는 출간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어린 시절 할머니한테서 들었던 옛 이야기와 세시풍속에 대한 기억을 소환한다. 그런데 그의 소환 코드는 사회주의적 민족주의였다. 이 코드에 의해 세시 풍속과 관련 설화는 일종의 문화번역 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 결과 기억은 변형되고 설화는 개작된다. 무수한 외침에도 희생과 단결을 통해 외적을 물리친 민족 이미지를 형상화하는 과정에서 서동설화는 왜의 침략에 맞선 신라와 백제의 통일 이야기로 바뀐다. 절의를 중시하는 민족 이미지를 주조하기 위해 중국 춘주시대의 인물 개자추는 신라 충신이 되고, 백일홍 전설은 정절의 지키다 죽은 약혼녀의 이야기가 되고, 마의태자와 낙랑공주는 한 해 한번만 팥죽을 앞에 두고 만나는 관계가 된다. 평화민족 이미지를 구축하기 위해 낙화암 전설은 평화로운 백제인들이 북쪽의 미개한 기마민족에게 유린당한 이야기로 변형되고, 은혜 갚은 꿩이 친 종소리는 새해의 도래와 채무변제를 알리는 희소식으로 대체된다. 한흥수의 설화 개작과 문화 번역은 2차 대전을 경험한 유럽인들에게, 일제의 식민지 상태를 막 벗어난 한국인들에 대한 긍정적 민족 이미지를 전해주기 위한 작업이었다. 동시에 신조선 건설에 복무하기 위해 조국으로 돌아가려고 했던 한흥수의 새로운 코리아에 대한 민족주의적 이상을 투사한 작업이기도 했다.

영문 초록

In 1947, Korea s Twelvemonth Folk tale was published in Vienna, Austria, by Han Hung Soo just before he returned to North Korea, giving up his stable teaching position in the country. According to the preface, he wrote this book for his European friends who wanted to know more about Korea. What he was trying to say was that Koreans were peace-loving people who valued filial piety and fidelity, loved their hometowns, wanted to help the weak and be fair, and inhabitants of a single-race nation speaking a single language. Han called memories of the folk tale and seasonal customs he had heard from his grandmother as a child to realize his publishing purpose. But his code was socialistic nationalism in which the seasonal customs and related folk tales go through a kind of cultural translation. As a result, the memory is transformed and the story is adapted. The story of Seodong turns into a story of the unification of Silla(新羅) and Baekje(百濟) against the invasion of the Japanese, in the process of shaping the image of the Korean people who defeated the enemy and its numerous external invasion attempts through sacrifice and unity. To shape the national image that values fidelity, the character of China s Gaejachu(介子推) becomes a Silla loyalist, the legend of crape myrtle becomes the story of his fiancée who died to maintain chastity, and the Prince Maeui(麻衣太子) and Princess Nakrang(樂浪公主) meet with the red bean porridge only once a year. To build a national image of peace, the legend of Nakhwaam(落花岩) is transformed into a story of peaceful Baekje people being violated by uncivilized nomads from the north, and the sound of a bell the pheasant strikes is replaced by the good news of the coming of the New Year and the repayment of their debts. Han’s rewriting and cultural translation of the story were intended to show Europeans, who had experienced World War II, a positive image of Koreans, who had just attained freedom from Japan s colonialism. At the same time, Han also projected his nationalistic ideal for the new Korea, and tried to return to his homeland to serve in building a new Joseon (Korea).

목차

1. 문제제기
2. 한흥수와 『한국의 열두 달 이야기』
2.1. 한흥수의 생애와 『한국의 열두 달 이야기』
2.2. 『한국의 열두 달 이야기』의 구성과 출간 배경
3. 『한국의 열두 달 이야기』에 표현된 민족 이미지
3.1. 의리를 중시하는 민족
3.2. 희생과 단결로 외적을 물리친 민족
3.3. 정절과 절개를 중시하는 민족
4. 마무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현설(Cho Hyun-Soul). (2019).근대 초기 유럽에 번역된 한국 설화에 표현된 민족 이미지 연구 -한흥수의 『한국의 열두 달 이야기』를 중심으로-. 구비문학연구, 52 , 139-171

MLA

조현설(Cho Hyun-Soul). "근대 초기 유럽에 번역된 한국 설화에 표현된 민족 이미지 연구 -한흥수의 『한국의 열두 달 이야기』를 중심으로-." 구비문학연구, 52.(2019): 139-17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