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예비초등교사들과 교사교육자의 수영수업 이야기

이용수 224

영문명
Narratives of a Teacher Educator and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in a Swimming Class
발행기관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저자명
이제행(Je-Haeng Lee)
간행물 정보
『교육논총』제39권 제1호, 251~27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3.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예비초등교사들과 교사교육자의 수영수업 경험을 토대로 초등체육 현장에서 수영교육의 적용을 탐색하고 방안을 마련해보고자 하였다. 2017년 2학기 동안 진행된 수영수업을 통해 교사교육자는 예비초등교사들의 수영수업에 참여관찰하고, 보고서와 4차에 걸쳐 서술적 설문, 연구참여자에 대한 면담을 실시하여 수집된 자료들을 Spradley의 분석 방법을 통해 연구텍스트를 분석하고 내러티브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교수의 수영수업은 획기적인 수영수업, 영상-설명-시범-지도 과정이 있는 수영수업, 기본을 가르치는 수영수업, 학습자와 지도자로서 역량을 기르는 수영수업, 틀을 깨는 수영수업, 기억에 남는 수영수업과 같이 6가지의 의미 있는 이야기로 전개되었다. 예비초등교사들은 수영수업을 자신들의 수영 수준에 따라 다르게 이해했다. 수영 경험이 없거나 수영을 잘하지 못하는 학생들은 생존수영, 경험, 전문 강사와의 협업, 제도적 지원에 대해 공감하는 이야기를 하는 반면, 수영 경험이 있거나 수영을 잘하는 학생은 영법수영, 전문성, 교사 직접 지도, 교사 열정이 필요하다는데 공감하는 이야기를 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사 교육을 위한 수영교육, 수영장을 갖춘 수영교육, 그리고 교사가 책무성을 갖는 수영교육에 대해 보다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함을 제기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application of swimming education in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based on the experience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nd a teacher educator. At a swimming class during the second semester of 2017, the teacher educator observed the participation of the pre-service teachers and completed an interview, a report, and four sessions of descriptive questionnaire. The data were analyzed by Spradley’s method to construct narrativ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class was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 six narratives: innovative swimming classes, swimming lessons with video・explanation・demonstration・guidance courses, swimming lessons to teach the basics, swimming lessons to enhance competence as a learner and leader, out-of-box swimming lessons, and memorable swimming lessons. The pre-service teachers created different narratives according to their swimming level. Those who had not had swimming experience or did not swim well talked about survival swimming, experience, collaboration with professional instructors, and institutional support. On the other hand, those who had had swimming experience or were good at swimming shared emotional sense of swimming, professionalism, direct teacher guidance, and teacher enthusiasm. Finally, both the pre-service teachers and the teacher educators suggested that more in-depth discussion is needed for swimming lessons in teacher education, swimming lessons with a swimming pool, and swimming lessons with teacher responsibilit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수영수업을 마치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제행(Je-Haeng Lee). (2019).예비초등교사들과 교사교육자의 수영수업 이야기. 교육논총, 39 (1), 251-273

MLA

이제행(Je-Haeng Lee). "예비초등교사들과 교사교육자의 수영수업 이야기." 교육논총, 39.1(2019): 251-27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